검색결과 리스트
구글에 해당되는 글 13건
- 2011.03.22 수직적 통합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애플 (5)
- 2011.02.01 통합 앱스토어(WAC)가 성공할수 있을까? (4)
- 2011.01.21 2011년 1월 셋째주 애플 뉴스 정리 (10)
- 2010.01.07 구글 넥서스원이 애플 아이폰에게 던지는 도전장 (7)
- 2009.02.13 App Store의 다음 목표는? (10)
- 2009.01.14 퀵실버의 미래 구글 Quick Search Box.. (12)
- 2009.01.13 맥용 크롬, 2009년 상반기 발표 예정 (10)
- 2009.01.06 구글, 맥용 피카사 베타 발표 (14)
- 2008.12.31 애플 순현금자산 세계 7위 (2)
- 2008.12.10 MacFUSE 2.0 릴리즈 (8)
글
구글은 안드로이드를 공개해버림으로써 누구든지 무료로 안드로이드 기반 기기를 내놓을 수 있게 하였다. 그 결과 삼성, LG, HTC, 모토로라 등은 물론이고 이름도 들어보지 못한 회사들도 안드로이드 기반 기기들을 쏟아내고 있다. 결국 구글의 안드로이드는 점점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이런 접근 방법을 수평적 통합이라 하고 MS가 이같은 방법으로 개인용 컴퓨터의 OS 시장을 장악했다.
그에 비해 애플은 자신이 하드웨어부터 운영체제, 심지어 응용프로그램도 함께 개발한다. 아이패드와 아이폰4는 CPU까지 애플이 직접 개발했다. 이런 방식을 수직적 통합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제 컴퓨터업계에서 수직적 통합을 이룬 회사는 애플만 남았다. 최근 노키아마저도 윈도모바일7을 사용하기로 해버렸으니..
수직적 통합이 거의 없는 이유는.. 어렵기 때문이다. 하드웨어 제조사는 하드웨어를 만들고 소프트웨어 개발사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철저히 분업된 모습에 비해 수직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하나의 회사가 하드웨어도 알아야 하고 소프트웨어도 개발해야 하니 분명히 매우 어렵다. 결국 이도 저도 못하고 퇴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장점도 있다. 그만큼 최적화에 장점이 있다. 아이폰, 아이패드 그리고 맥이 다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나 윈도 머신보다 더 쾌적한 것은 애플의 수직적 통합으로 인한 장점이 드러난 좋은 예가 된다. (혹자는 윈도를 보면서 현대 소프트웨어 공학의 승리라는 표현까지 썼다.) 그리고, 애플은 그것을 정말 잘 해내는 회사이다.
아이폰 이전의 애플은 개인용 컴퓨터 시장에서 수직적 통합으로 재미를 보기보다는 고전했다고 하는것이 맞는것 같다. 세상은 윈도 천하가 되는것 같았고 실제로 윈도 천하였다. 그런데, 스마트폰으로 시장이 넘어오면서 상황은 바뀌었다.
기존의 휴대폰은 수평적 통합보다는 수직적 통합이 주가 되는 시장이었다. 휴대폰 제조사는 휴대폰 하드웨어와 함께 그 위에 올라가는 소프트웨어도 함께 개발했다. 따라서 애플이 뛰어들기에 가장 성공하기 좋은 시장인 셈이다. 결국 아이폰을 들고 뛰어들었고 큰 성공을 하고 있다. 하드웨어도 사용자가 커스터마이징이 불가능하고 제조시에 결정된다.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 시장과는 달리 수직적 통합이 성공할만 하다.
그에 비해 구글은 수직적 통합이 주를 이루는 시장에 수평적 통합의 시대를 열었다. 이제 아이폰보다 안드로이드가 더 많이 팔리고 있다. 그만큼 수평적 통합은 시장을 통해 시장을 장악하는데 성공했다.
그렇다면 수익은 어떤가?
수익은 비교가 되지 않는다. 모바일 시장 수익의 40% 이상을 애플이 가져간다는 리포트가 나왔다. 전체 휴대폰 시장을 보면 5%도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데도 말이다.. 모바일 시장의 수익으로 따지면 세계 1의 휴대폰 제조사라고 큰소리 칠만 하다. 그리고 그것은 애플이 수직적 통합을 성공적으로 해낸것도 큰 이유중 하나가 될 것이다.
수직적 통합을 통해 자신들의 소프트웨어에 맞는 하드웨어를 개발해낼수 있다. 무조건 하드웨어 사양을 높여서 성능을 내는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소프트웨어에 맞도록 하드웨어를 개발함으로써 너무 고성능의 하드웨어라 아니더라도 더 좋은 성능을 끌어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맞게 소프트웨어를 최적화도 가능하다. 즉 상대적으로 저성능의 하드웨어로 동일하거나 더 높은 성능을 끌어낼수 있게 되고 이는 제조 단가를 떨어뜨린다. 하지만 사용자가 느끼는 성능은 충분하기 때문에 더 높은거나 비슷한 가격을 받을수 있다. 즉 이윤이 매우 높아진다.
애플의 아이폰 사양을 보면.. 명확하지 않다. 다른 회사들이 1Ghz라는 CPU 동작 클럭을 마케팅에 이용하는 것과는 달리 애플은 아이폰에 들어가는 CPU의 동작클럭을 공개하지 않는다. 메인 메모리가 얼마 들어있는지도 애플은 알리지 않는다. 숫자보다 더 중요한것은 사용자가 느끼는 성능이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느끼는 성능을 최대로 뽑아 내는데에는 애플의 수직적 통합이 정말 제격이다.
애플과 같이 수직적 통합을 이루어 내는 회사가 또 생길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수직적 통합을 제대로 이루어 낸다면 애플처럼 높은 수익을 낼수 있을것이다. 다만 그 길이 매우 어려울 것이라는게 문제이다.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평적 통합도 놓치지 않는 애플 (0) | 2011.03.29 |
---|---|
새로워진 갤럭시탭으로 애플에 도전장을 내밀었는데.. (4) | 2011.03.23 |
수직적 통합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애플 (5) | 2011.03.22 |
사양보다 만족도를 올리는 애플 (4) | 2011.03.17 |
아이튠의 분리를 바란다. (15) | 2011.03.08 |
아이패드2 발표, 애플의 마술 (23) | 2011.03.03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예찬 (8) | 2011.02.15 |
---|---|
13인치 맥북에어 CTO 풀옵션 사용 소감 (9) | 2011.02.08 |
통합 앱스토어(WAC)가 성공할수 있을까? (4) | 2011.02.01 |
아이패드2는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 (14) | 2011.01.25 |
맥 앱스토어를 생각한다. (3) | 2011.01.18 |
뉴맥북에어 13인치 구입 (16) | 2011.01.11 |
설정
트랙백
댓글
-
-
마음으로 찍는 사진 2011.02.07 14:23 ADDR EDIT/DEL REPLY
WAC의 경우 세계 이동통신회사(26개? 오래 되어서 가물가물하네요.)가 모여서 만든 집단 입니다. 때문에 제가 알기로는 많은 이동통신사로부터 어느정도의 금액을 받아서 운영하는 모델로 알고 있습니다.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글
'Apple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2월 1주 애플 뉴스 정리 (0) | 2011.02.07 |
---|---|
2011년 1월 넷째주 애플 뉴스 정리 (4) | 2011.01.28 |
2011년 1월 셋째주 애플 뉴스 정리 (10) | 2011.01.21 |
2011년 1월 둘째주 애플 뉴스 정리 (4) | 2011.01.14 |
타임머신을 위한 백투더퓨쳐 드로리안 모양의 외장 하드 (4) | 2010.12.01 |
MacX Video Converter Pro 11월 15일까지 무료 배포중 (11) | 2010.11.09 |
설정
트랙백
댓글
-
-
고양이와참치 2011.01.21 16:07 EDIT/DEL
사파리만 놓고 볼떄는 굉장히 유려하게 돌아가지만요.
시스템 전체로 놓고 보면 가볍다는 느낌은 확실히 아닌것 같습니다.
윈도용에 비해 가볍다는것이지 이게
파폭이나 크롬, 오페라와 비교에 들어가면..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같은 웹킷 브라우저인 크롬보다 2배의 메모리를 사용하고요.
파폭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사파리의 경우가 더 심각한데, 완성도 낮은 익스텐션을 사용할 떄 굉장한 속도 저하가 오기도 합니다. 익스텐션 갤러리에서 걸러내 주어도 좋을성 싶은데 말이죠. 절대수가 적다보니.. -
drzekil 2011.01.21 16:15 신고 EDIT/DEL
아.. 그런 문제가 있었나요..
맥에서 써본 크롬이나 파폭, 오페라등 다른 브라우저를 사용해봐도 사파리만큼 만족하지 못해서 맥에서는 사파리가 최고라고 생각했었는데, 그런 문제가 있었군요..
요즘 맥용 크롬은 한글 입력 문제가 해결됬는지 모르겠습니다. 처음 나왔을때 한글 입력문제때문에 제껴버린 기억이 있네요.. 또한 앞으로/뒤로 할때 리프레쉬도 사파리랑 좀 달라서 사파리에 익숙해진 저에게는 좀 불편하더라구요..^^
이렇게 이야기가 나온김에 크롬 한번 써봐야겠네요..^^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
극악 2011.01.21 14:26 ADDR EDIT/DEL REPLY
역시 스티브 잡스의 병가가 가장 중요한 뉴스군요!! 이미 애플이 워낙 잘나가고 있어서.. 늦더라도 건강히 복귀하길 바라는중이네요. 애플 뉴스중에 100억 앱 다운로드는 빠져있군요^^; 이번주말이나 다음주중에 1만달러 기프트카드 주인공이 탄생할 거 같네요.
글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에서 타블렛이 나온다면 어떤 모습일까? (6) | 2010.01.21 |
---|---|
라스베가스를 다녀왔습니다. (2) | 2010.01.18 |
구글 넥서스원이 애플 아이폰에게 던지는 도전장 (7) | 2010.01.07 |
2009년 애플에 대한 정리. (6) | 2010.01.01 |
아이폰 일주일의 사용소감 (18) | 2009.12.08 |
넘치는 아이폰 킬러들.. 아이폰을 죽이지 못하는 킬러들.. (8) | 2009.12.07 |
설정
트랙백
댓글
-
enetix 2010.01.08 00:48 ADDR EDIT/DEL REPLY
여러 기능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유심 언락에 관심이 가네요
기존 통신사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물론 국내에서는 꿈같은 일이긴 하지만.. -
준인 2010.01.08 20:04 ADDR EDIT/DEL REPLY
궁금한게요, me인가로 인터넷에 아이폰도 저장가능하지 않나요?
전 아이폰 사용자가 아니라;; 예전에 티옴냐 깔때 세티즌에서 어떤 분이 저런 게 말씀하신 것 같아서요.
넥서스 원도 국내에서 사용은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미국에서 사와서 '개인 인증' 받으면요.....(약 40만원)-
erin.js.lee 2010.01.11 16:38 EDIT/DEL
mobile me는 1년에 11만원쯤 하는 유료 서비스입니다...
그리고 아이폰은 iTune에 종속적입니다. 휴대폰 인증 절차부터 iTune이 필요합니다... 그런 차이가 있는 거 아닐까 싶습니다..
-
-
치즈 2010.03.29 14:37 ADDR EDIT/DEL REPLY
결과적으로는 그리 성공하지 못한 휴대폰이 되었지요. 어쩌면 구글에게나 안드로이드폰 제작사에게나 성공하면 안될 폰이었을것 같기도 하고요. 하지만 상징적인 의미는 여전한 것 같습니다.
글
그 뒤를 이어서 구글도 안드로이드 마켓을 준비하고 있고,
삼성에서도 비슷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연다고 한다.
애플의 App Store를 보면 등록된 프로그램이 2만개를 넘어섰다고 하고,
지금 이시간에도 엄청난 성장세를 보이며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프로그램이 많아지면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는것이 중요한 이슈가 된다.
너무 많은 정보는 정보가 아닌 쓰레기가 되버리듯이,
너무 많은 프로그램은 필요한 프로그램이 없다는 이야기가 될수도 있다.
많은 프로그램을 확보하는것이 중요한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많다면 그중에서 정말 유저가 필요하고 원하는 프로그램이 찾는것이 중요해진다.
따라서 각 플랫폼별로 프로그램 스토어가 생기고,
등록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많아지면, 정말 중요한것은 바로 검색이 될것으로 예상한다.
검색이라면 누구보다 구글이 앞서있는게 사실이다.
구글의 검색은 이미 인터넷을 장악하고 있다.
그런 검색 기술을 안드로이드 마켓에 적용할 수 있을것이다.
한편 애플은 크게 성공한 iTunes Store를 이미 갖고 있고,
App Store도 iTunes Store와 함께 연계시키고 있다.
iTunes Store에 익숙해진 유저들의 접근이 용이하다.
또한 비슷한 방식의 검색 및 탐색 기능은 애플의 노하우가 되어 App Store를 더욱 성공적으로 만들어줄 것이다.
삼성이 연다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는?
삼성은 애니콜랜드라는 컨텐츠 제공을 위한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꽤 오래된 홈페이지로 거의 10년가까이 된듯 하다.
하지만, 그다지 널리 알려져 있지 않고, 신경 쓰는것 같지도 않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구글이나 애플에 비해 뒤떨어져 있는게 아닌가 예상한다.
논란의 여지가 있겠지만, 삼성의 지금까지 모습을 보면 잘 만들어진 플랫폼보다는 그럴듯한 외형만 갖춘 스토어가 될 확률도 많아 보인다.
어쨋든..
지금까지는 애플의 아이폰이 스마트폰 프로그램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애플과 같은 프로그램 시장을 준비하고 있다.
다양한 프로그램 시장이 개장되고,
프로그램들이 충분히 개발되는 시기가 된다면,
중요한 부분은 바로 검색 기술이 될 것이다.
그때 가서 준비한다면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이미 늦는다.
미리 준비한 플랫폼이 스마트폰 프로그램 시장을 장악할것이다.
그리고 애플도 구글도 이미 이런 방향을 준비하고 있지 않을까..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세대 아이폰에 대한 예측 (6) | 2009.03.02 |
---|---|
애플은 북미라는 우물에서 나와야 한다. (23) | 2009.02.17 |
App Store의 다음 목표는? (10) | 2009.02.13 |
애플 코리아 iWork, iLife 09 발표 행사장에 다녀오다. (4) | 2009.02.12 |
아이폰의 핵심은 App Store이다. (28) | 2009.01.31 |
메타데이터, 태그 기반의 데이터 정리 (20) | 2009.01.28 |
설정
트랙백
댓글
-
-
1월의가면 2009.02.13 23:07 ADDR EDIT/DEL REPLY
올블로그 소개글에
'Appstore의 발정방향'이라는 약간 야시시한 오타가 난듯합니다 ㅎㅎ
어쨌든 삼성은 애플같은 선구자적 업체들은 모방하는데 급급할듯합니다 -
럭키스타 2009.02.14 01:14 ADDR EDIT/DEL REPLY
삼성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만든다는 소리듣고 좀 웃겼습니다 ㅎㅎㅎ
애플이 AppStore로 수익에도 재미를 쏠쏠히보고 시장장악에도 일조하는걸 봐서 따라하는거 같은데...
AppStore는 아이폰뿐만 아니라 아이팟터치에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많은건데...
과연 삼성은 어떻게 개발자들을 끌어모을지가 궁금하네요 ㅎㅎㅎ 황새걸음을 뱁새가 쫓아가다가 또 가랑이 찢어질듯... -
까만거북이 2009.02.14 01:32 ADDR EDIT/DEL REPLY
애플의 앱스토어에 커뮤니티 기능을 더 활발하게 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미 활발한지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돌아본 앱스토어는 그 부분이 약하지 않은가 싶습니다.
어플리케이션 리뷰 페이지도 생각보다 덜하고, 그 외 어플리케이션은 사람의 경험이 중요하니, 서로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아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이건 단순히 검색 성능이 좋다고 이루어지는 부분이 아닌 것 같구요.
물론 검색 성능이 좋으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금방 찾기도 하겠지만, 경험 공유의 공간이 더 활발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삼성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는 두고보고 생각해봐야겠습니다. :)
글
사용하지 않더라도 한번쯤은 들어봤을만한 유틸리티가 바로 퀵실버이다.
퀵실버는 키보드 타이핑을 기반으로 한 가장 강력한 런처중 하나이다.
기본적인 프로그램 실행은 물론이고, 액션을 통해 실행과 동시에 특정 메뉴를 실행한다던가 하는 일을 손쉽게 할 수 있다.
하지만 퀵실버는 2007년말 이후로 더이상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있다.
물론, 더이상 업데이트되지 않아도 될만큼 버그도 없고 완성도가 높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새롭고 강력한 기능이 포함되어 업데이트 된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것은 나뿐만이 아닐것이다.
퀵실버의 미래를 보고 싶은가?
바로 구글이 그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퀵실버의 개발자인 Nicholas Jitkoff를 영입해서 Quick Search Box를 개발하고 내놓았다.
잠시 사용해보았는데,
퀵실버의 문제점인 한글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된 듯이 보였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사전같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데 문제가 생겼다.
사전 프로그램은 dictionary.app로 저장되어 있는데,
OSX에서 자체적으로 사전으로 변환해서 보여준다.
퀵실버는 dictionary로 실행할수 있었다.
하지만 QSB에서는 실행할 방법이 없다.
사전으로도 나오지 않고 dictionary로도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QSB 하나로 런쳐기능과 스팟라이트 검색, 웹검색까지 가능하고,
그 외에도 다양한 검색이 가능하다는것은 매우 큰 장점이다.
그리고, 구글에서 서비스하는 또하나의 역작인 구글 데스크탑과 무엇이 다를까?
디스커션 그룹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있다고 한다.
QSB allows you to perform actions.
QSB supports third party plugins (documentation is coming soon).
QSB is opensource.
QSB does not have a background indexer.
QSB does not install any plugins in other apps.
아직은 불안한것도 좀 있고,
타이핑 할때마다 검색 결과를 보여주다보니 조금 끊기기도 한다.
한글 모아쓰기에도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계속 업데이트 되면서 더 좋아지리라 기대해본다.
QSB for Mac은 아래 링크에서 받을 수 있다.
http://code.google.com/p/qsb-mac/
'Apple >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제품의 역사를 한눈에 Mactracker (6) | 2009.01.21 |
---|---|
아이폰 앱 스토어에 올라온 웹브라우저 4종 (8) | 2009.01.15 |
퀵실버의 미래 구글 Quick Search Box.. (12) | 2009.01.14 |
사파리 내장 RSS 리더 보안 취약점 발표 (4) | 2009.01.14 |
맥용 크롬, 2009년 상반기 발표 예정 (10) | 2009.01.13 |
맥유저중 MS Office 유저는 얼마나 될까? (27) | 2009.01.08 |
설정
트랙백
댓글
-
SL. 2009.01.14 11:21 신고 ADDR EDIT/DEL REPLY
이 글 보고 신나서 써보려고 갔더니.. 타이거는 지원하지 않는군요 ㅠ,ㅠ 얼마 전에 나온 맥용 피카사도 인텔프로세서만 지원한다고 해서 좌절했는데.. 이제 슬슬 G4 Tiger와의 작별을 준비할 때가 왔나 봅니다.
-
-
ZZiRACi 2009.01.14 17:29 ADDR EDIT/DEL REPLY
그래도 퀵실버의 손맛에 버금갈지는 의문이더 군여.
저도 소식은 듣긴 했는데...
더 버전업 된다음 써봐야 겠습니다~ -
moreta 2009.01.19 00:02 ADDR EDIT/DEL REPLY
사전 이라고 한글로 치면 나오지 않나요?
저는 일본어로 쓰고 있는데 dictionary로 치면 검색이 안되지만 辞書라고 치니 검색이 되던데요.. -
위세이 2009.01.29 00:37 신고 ADDR EDIT/DEL REPLY
음.. 저는 타이거 환경인데 dic이라고 치고 바로 뜨는 데요.. 음.. 환경을 좀 타는지... 암튼 님 블로그 오늘 처음 왔어요.. 앞으로 자주 올것 같은 예감이...
-
k 2009.02.05 23:52 ADDR EDIT/DEL REPLY
소개해주신 글 잘 읽고 퀵실버를 대체하려 시도해보았으나.. 아직 너무 느리네요 ^^; 특히나 Samba 등등이 연결되어있을 경우에는 cpu를 무려 80%까지나 잡아먹어버리는 군요. 아직 한참 기다려야겠습니다. 30분만에 퀵실버로 돌아왔어요. :)
글
맥용과 리눅스용은 아직 베타도 나오지 못했죠.
맥용과 리눅스용 크롬이 2009년도 상반기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크롬도 사파리와 마찬가지로 webkit 기반의 웹 브라우저입니다.
그래서 맥, 리눅스용도 빨리 나올거라 생각했는데,
역시 피카사보다는 빠르게 나오는군요..
파폭을 거들떠보지도 않고 익스플로러만 죽어라 사용하던 제 주위의 사람들이,
크롬을 사용하는 경우가 꽤 생겼습니다..
그만큼 매력이 있다는 이야기겠죠..^^
맥에서도 사용하고 싶습니다.
구글 창업자도 자신의 맥에서 크롬을 실행시키려면 VMware를 사용해야 해서 귀찮다고 하는군요..^^
어서 빨리 맥용 크롬을 사용할 날이 오길 바랍니다..
'Apple >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퀵실버의 미래 구글 Quick Search Box.. (12) | 2009.01.14 |
---|---|
사파리 내장 RSS 리더 보안 취약점 발표 (4) | 2009.01.14 |
맥용 크롬, 2009년 상반기 발표 예정 (10) | 2009.01.13 |
맥유저중 MS Office 유저는 얼마나 될까? (27) | 2009.01.08 |
MacHeist 번들 프로그램 배포중 (8) | 2009.01.07 |
flash 기반의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아보자. Videobox (8) | 2008.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
-
-
까만거북이 2009.01.14 12:06 ADDR EDIT/DEL REPLY
엑티브X 지원이 확정된 건가요?
계획이 그렇다는 건지 잘 모르겠네요.
조금 더디긴해도 맥을 확실히 지원해주는 구글, 멋지네요.
저도 불여우는 지인들에게 권해주기 좀 그렇다는 생각을 했더랬습니다만, 크롬은 자신있게 권해줍니다.
인터넷 속도가 그리 느리지 않은 한국에선 불여우가 익스플로러보다 살짝 빠른 반면에 크롬은 자신있게 속도를 보여주기도 하고요.
무엇보다 간단한 인터페이스로 일반인들이 접하기 쉬운 것 같습니다.
전 PC에서 크롬을 기본 브라우저로 잡고, 불여우를 메인으로 사용합니다. :)
(늘 맥의 사파리 같은 기본 브라우저를 꿈꿔왔더랬습니다.. 익스플로러..으..:( ㅋ') -
-
ZZiRACi 2009.01.14 17:30 ADDR EDIT/DEL REPLY
여튼 맥용 구글 크롬에서 엑티브X를 지원하면 대박이겠는데요
필수 어플리케이션이 될 가능성이 높긴하네요.
글
아직 베타지만 꽤 괜찮은듯 하다.
우측 상단에 보면 다운로드 가능한 버튼이 있다.
Mac OSX 10.4 타이거 이상이 필요하고,
인텔 CPU만 지원한다고 나와있다.
(PPC는 점점 설 자리가 좁아지는듯 하다)
많이 사용되는 폴더를 검색할지 전체 폴더를 검색할지 결정한다.
실제 화면이다.
윈도용과 마찬가지로 간단한 편집도 가능하고 피카사 웹으로 공유도 가능하다.
아직까지 큰 버그는 발견하지 못했다.
맥에는 아이포토라는 강력한 툴이 있는데,
서로 경쟁을 통해 더 좋은 툴이 되길 바란다.
'Apple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world 2009 Best of the Show (2) | 2009.01.12 |
---|---|
MacRumors 라이브 페이지 해킹. (4) | 2009.01.07 |
구글, 맥용 피카사 베타 발표 (14) | 2009.01.06 |
스티브 잡스 호르몬 이상. 하지만 CEO직은 유지. (2) | 2009.01.06 |
17인치 MacBookPro도 유니바디로 출시될듯 (2) | 2009.01.05 |
Apple 인터넷 환경 시장 점유율 10% 돌파 (4) | 2009.01.03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세계 최고 현금 부자는 워렌 버핏
제목에서도 쉽게 유추가 가능하지만,
세계 유수 기업들의 순현금자산을 조사해본 결과,
1위가 워렌 버핏의 투자회사인 버크셔 해서웨이라는 기사이다.
순현금자산이란 기사에 의하면 현금과 쉽게 현금화가 가능한 유가증권, 단기투자 자산에서 부채를 뺀것이라 한다.
기사에 있는 그래프를 보자.
상위 4개 회사는 은행이다.
중국계의 강력함을 볼수도 있다.
그런데..
애플이 7위에 랭크되어 있다.
그 뒤를 시스코와 MS, 그리고 구글이 잇고 있다.
MS와 구글보다 애플이 순현금자산이 더 많다는 사실은 참 재미있어 보인다.
이번에 금융 위기를 맞아서 주가의 하락이 큰 영향을 미친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Apple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인치 MacBookPro도 유니바디로 출시될듯 (2) | 2009.01.05 |
---|---|
Apple 인터넷 환경 시장 점유율 10% 돌파 (4) | 2009.01.03 |
애플 순현금자산 세계 7위 (2) | 2008.12.31 |
스티브 잡스의 건강 이상설 제기 및 그에 대한 애플의 반박 (2) | 2008.12.31 |
99달러 아이폰 등장 (10) | 2008.12.29 |
월마트, 12월 28일 일요일부터 아이폰 판매 시작 (2) | 2008.12.27 |
글
구글에서 개발하고 공개하는 MacFUSE는 맥OSX에서 써드파티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수 있도록 도와준다.
현재 OSX에서 NTFS는 읽을수만 있고 쓰기나 수정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MacFUSE를 사용하면 NTFS에서도 쓰기나 수정이 가능하다고 한다.
물론 NTFS만이 아니라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사용법이 일반인들에게는 결코 쉽지 않다.
물론 Google에서는 사용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그 외에도 개발자는 MacFUSE를 사용하여 맥OSX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파일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실제로 MacFUSE는 FUSE(File-system in USEr space)의 맥버전이라 할수 있다.
FUSE와 마찬가지로 리눅스에 기반한 API를 동일하게 지원하기 때문이다.
MacFUSE 1.x 버전에서는 삭제가 어려웠기 때문에 간혹 문제가 생길 경우에 OSX를 재설치 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MacFUSE 2.0에서는 Control Panel을 지원하여 간단하게 업데이트 및 삭제가 가능해졌다.
NTFS는 Paragon이라는 상용 프로그램이 나와 있지만 이 또한 문제가 있다고 리포팅 되고 있다.
안정성이 생명인 파일시스템에 문제가 생긴다면 아무래도 사용이 꺼려진다.
하지만 MacFUSE는 문제가 생기기 보다는 느리다는 불만이 제일 컸던것으로 기억한다.
따라서 느리지만 안정적인 NTFS 사용을 원한다면 MacFUSE 사용을 고려해볼만 하다.
다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사용이 좀 까다로운것은 어쩔수 없는듯 하다.
'Apple >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ZOT에서 번들 판매 개시 (2) | 2008.12.29 |
---|---|
맥의 멀티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파이어폭스 (5) | 2008.12.12 |
MacFUSE 2.0 릴리즈 (8) | 2008.12.10 |
MacUpdatePromo Holiday 번들 판매 (2) | 2008.12.05 |
uTorrent for Mac 베타 공개 (12) | 2008.11.27 |
사파리 3.2.1 업데이트 (6) | 2008.11.25 |
오늘도 공감 가는 글.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애플과 경쟁하는 업체들이 (특히 삼성..) 단순 스펙비교로 일반사용자를 현혹시키는 모습을 보면 너무 안타깝죠.
감사합니다..^^ 삼성만이 아니라 다른 거의 모든 제조사, 경쟁사들이 단순 스펙비교를 하는것 같습니다..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확 나타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사용자들이 숫자에 대해 신뢰가 떨어지는것 같습니다..
블랙베리의 RIM도 RTOS인 QNX를 인수해서 비슷한 시도를 하고 있죠. 이번 플레이북이 얼마나 잘나올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예.. 기존 휴대폰 제조사들은 수직적 통합을 나름 이루었었죠.. 하지만 애플은 수평적 통합이 대세인 시장에서도 수직적 통합으로 살아왔던 회사인만큼 그 포스가 다르다고 할까요..^^ 애플의 대단한 점이지요..
궁금한데, 애플의 행보를 과연 수직적 통합이라 볼수 있는것인지요,
오히려 하드웨어 제작시 합작투자정도의 협력관계에서 아웃소싱하고 있다는 표현이
맞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차라리 삼성이 수직적 통합에 가장 근접했다고 봐야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