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규제에 해당되는 글 2건
- 2010.03.08 아이폰에서 유튜브 동영상 업로드 차단으로 본 규제민국 (17)
- 2009.06.23 아이폰 출시 이야기를 통해 살펴보는 우리나라 IT 현주소 (34)
글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의 안드로이드 상표 등록은 아이폰에게 힘을 준다. (37) | 2010.03.16 |
---|---|
차세대 아이폰이 우리나라에 빠르게 출시될까? (10) | 2010.03.11 |
아이폰에서 유튜브 동영상 업로드 차단으로 본 규제민국 (17) | 2010.03.08 |
애플의 아이폰OS도 공개되어 있다. (21) | 2010.03.03 |
아이튠 스토어 음질에 대한 문의 방법 및 그 결과 (14) | 2010.03.02 |
아이튠 스토어에서 구입한 음악의 음질 문제 (22) | 2010.02.25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 복잡한 윈도와 비교되는 OSX 업그레이드 (33) | 2009.07.03 |
---|---|
아이폰 출시에 대한 불안감 (19) | 2009.06.24 |
아이폰 출시 이야기를 통해 살펴보는 우리나라 IT 현주소 (34) | 2009.06.23 |
아이폰을 기다리며 삼성폰을 보면서.. (10) | 2009.06.19 |
애플의 넷북을 기대한다. (18) | 2009.06.11 |
아이폰 3GS 이전에 있던 2GS (10) | 2009.06.11 |
설정
트랙백
댓글
-
-
-
-
-
폐인2 2009.06.24 00:31 ADDR EDIT/DEL REPLY
더러운 통신사놈들... 그러면서 온갖 이미지 광고는 해대고 있죠. 자회사랑 합병한 모통신사의 이미지 광고를 보면 기가 찹니다..... 하청업체에는 가혹하고 소비자는 미혹하고 IT산업을 좀먹는 벌레들입니다.
-
NekoNeko 2009.06.24 00:39 ADDR EDIT/DEL REPLY
글쎄요. 아이폰이 이통사가 쥐고있는 헤게모니를 소비자에게 돌려준다구요? 게임을 보는 시각 자체가 잘못된 것이 아이폰은 이통사가 쥐고 있는 헤게모니를 애플에게 주게 되는 겁니다. 소비자는 이제 이통사가 아니고 애플에 종속이 되죠. 소비자 입장에서는 이것이 더 큰 해악일 수 있는게 아이폰 어플을 쓰기 위해 다음부터는 전화기를 아이폰밖에 살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님이 정말로 소비자의 권익에 관심이 있다면 아이폰을 들여오지 않는 이통사를 비난할 게 아니라 이통사들이 아이폰에 대항해서 경쟁할 수 있는 휴대폰 플랫폼을 왜 개발하지 않는지, 혹은 개발할 여력이 없다면 오픈 플랫폼인 구글폰이라도 빨리 들여오지 않는지를 비판해야 합니다. 또, 이렇게 경쟁 플랫폼이 있어야 애플이 한국에 진출하더라도 싼 값에 들여올 수 있기 마련인데 소비자들이 이런 쪽에도 관심이 없다는 것은 참 아이러니한 상황이죠. 그래서 애플빠라는 얘기가 나오고 사대주의라는 얘기까지 나올 수 밖에 없는 겁니다.-
drzekil 2009.06.24 00:47 신고 EDIT/DEL
전 세계적으로 히트하고 있는 아이폰도 들여오지 않고 있는데 새로운 플랫폼을 개발하고 안드로이드폰이 들어올수 있으리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단기적으로는 헤게머니를 애플이 쥐게 되는듯 하지만,
아이폰은 그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폰이 들어와서 성공적으로 시장에서 인정받게 되면 그와 비슷하게 열려있는 새로운 플랫폼이나 안드로이드 폰이 나올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검증된 아이폰마저도 이렇게 들어오기 힘들다는게 문제라는거죠..
과거를 살펴보면 위피가 하나의 플랫폼이 될수 있었을것 같았습니다만, 결국 이통사의 헤게머니를 가져오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 시작점을 아이폰에게 기대하고 있는 것이구요..
첫술에 배부를수 없습니다.
확실한것은 세계적으로 아이폰으로 말미암아 통신 시장이 바뀌고 있다는 점이고, 거기에서 우리나라만 뒤쳐지고 있다는점이죠..
더 늦지 않기 위해서는 아이폰이 들어오지 않더라도 새로운 통신의 시대로 빨리 진입해야 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통신 시대가 국내 시장에서 인정받고 발전할수 있는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은 아이폰이 들어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예슬아빠 2009.06.24 09:22 EDIT/DEL
아이폰은 기본으로 WIFI를 지원합니다. 무슨 의미이신지 아시죠? 지금우리나라에 나와있는 스마트 폰들은 인터넷을 쓰려면 엄청난 트래픽 요금을 이동통신사에 지불해야 합니다. 바로 옆에 AP가 있으면 굳이 이통사 망을 통해서 인터넷을 안써도 되는데 그걸 막고 이미 잡아 놓은 물고기인양 고액의 통신 요금을 내야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거죠.
LGT에서 OZ에서 내걸서 히트친게 이거 잖아요. 사용자는 훨씬 저렴한 방법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걸 막고 값비싼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인터넷만 써야 하는 것이 현재의 구조라면 아이폰이 들어오면 이런 부분들이 무너지겠죠.
그리고 지금은 이통사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만 사용가능하지만, 아이폰이 들어오면 앱스토어에서 그냥 살 거니까 이통사의 손바닥을 벗어나는 것이지요. 어디서 살 것은지는 소비자들이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다른 대안들이 허용되는 것 자체가 권력이동이 아닐까 싶네요. -
NekoNeko 2009.06.24 10:21 EDIT/DEL
예슬아빠/ wifi를 쓸려면 ipod touch로 충분하지 않습니까? ipod touch로 skype같은 voip 어플을 쓸 수 없는 것도 아니구요. 또, iphone용 어플 역시 모두 쓸 수 있으니까요.
뭐 소비자가 굳이 눈앞의 편의성에 혹해 독점 플랫폼에 발목이 잡히는 것을 말리지는 않습니다. 다만, 진정 소비자에게 유리한 것은 애플의 독점을 방조하는 것이 아니고 애플과 다른 업체를 경쟁시킬 수 있는 바탕을 만드는게 아니겠어요. 그래야 선택도 다양해지고 스마트폰 가격도 내려가겠죠.
-
-
Han Sanghun 2009.06.24 08:57 ADDR EDIT/DEL REPLY
아이폰을 기다리고 있는 사용자로서 공감가는 내용이네요. 우리나라는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에서 강국이지, 기타 IT산업 전반으로 본다면, 과연 강국이라 자부할 수 있는게 무엇일까 고민하게 만드는 상황이죠. 새로운 윈도우나 IE가 발표될 때마다 MS에 달려가서 매달리는... 답답하네요. 그나마 웹에서는 늦게라도 바뀌려는 움직임이 시작되었으나, 모바일은 아직도 갈길이 멀다고 생각됩니다.
본문중에 USIM만 바꿔서 사용하는게 안된다고 했는데, 이거 가능합니다. 얼마전에 사정상 핸드폰 3개에서 USIM만 바꿔가면서 사용해야하는 상황이 있었는데, 잘 되더라고요. 같은 통신사용으로 나온 폰이어서 그랬겠지요. 다른 통신사용 폰에서는 해보지 안아서 잘 모르겠군요. 아마도 이게 안된다는 의도로 말씀하신 거겠지요? -
jw 2009.06.24 09:09 ADDR EDIT/DEL REPLY
SK, KTF, LGT하는 꼬락서니 보면 도대체 국산을 왜 써야하는지 의미가 없어집니다... 이젠 솔직히 국산 외산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소비자를 가장 잘 이해하고 편리한 것을 사용하고 싶은 마음이 앞서네요...
-
NekoNeko 2009.06.24 10:41 EDIT/DEL
drzekil/ 좀 많이 잘못 알고 있는 것 아닙니까? 한국 시장이 언제 외산폰을 차별했나요? 한국에서 모토롤라폰은 미국산이라고 거들떠보지도 않는 제품인가요? 또 소위 그래도 wto 가입국에 세계 몇 대 교역국 운운 소리를 듣는 게 한국의 경제 규모인데 이런 나라에서 국산폰에 외국폰들이 치인다? 당장 wto 제소가 들어오고 보복관세조치가 따라올 일입니다.
언론 플레이는 또 무슨 해괴한 얘기입니까? 이건 기본적으로 애플과 국내 이통사 회사간의 계약이 성사되느냐 마느냐의 문제입니다. 두 회사가 협상중에 언론 보도를 할 것이 뭐가 있습니까? 오히려 언론에 나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상식적이지요. 원론적인 얘기이지만 그렇게 아이폰이 좋은 제품이고 또 그렇게 아이폰 수요가 국내에 많다면 새로 자본금 모아 이통사를 설립하고 애플과 직수입 계약을 맺어 돈벌이를 하세요.
아이폰이라는 제품은 미국에서도 이통사들은 꺼려하는 제품입니다. AT&T외에는 아무도 애플과 계약을 하지 않았어요. 그만큼 애플의 요구조건이 지나치고 또 이통사 입장에서도 비용 부담이 크다는 얘기입니다. -
drzekil 2009.06.24 10:50 신고 EDIT/DEL
제가 보기엔 외산폰이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중 상당부분은 이통사의 기능빼기 요구와 언론들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에 들어온 소니나 노키아의 폰을 보면 핵심기능이 빠져있습니다. 왜그럴까요..
언론들을 보면, 외산 폰들의 결함은 열심히 때려댑니다.
그에 비해 국산 폰들의 결함은 보도조차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것들이 잘못된 국수주의가 아닐까요..
처음 아이폰은 분명히 꺼려했지요..
하지만 지금은 어떨까요..
다른 이통사들도 아이폰과 계약하고 싶을겁니다..
다만 AT&T가 우선적으로 독점하기로 계약되어 있을 뿐.. -
NeKoNeKo 2009.06.24 15:17 EDIT/DEL
외산폰 엄청나게 차별했지여.. 모토로라는 삼성 엘쥐의 핸드폰 시장 전에 진입한 외산폰이니 그나마 성공할수 있었던것이지여.당장 삼성폰을 보면 언론에서 칭찬일색입니다. 당장 제트폰 쳐보세여..스펙다운으로 유명한 아레나 기사보세여..다~ 장점만 부각시켜놓았져.. 헌데 아이폰이라고 한번 쳐보십시오... 팩트는 300만대가 팔리니..어쩌니 하며 대히트를 치고있는데, 언론에서 한국에서 성공못할 이유니 어쩌구 사대주의가 어쩌구..이런기사가 거의 절반에 가까운듯합니다. 미국에서 이통사들이 AT&T 외에 아무도 계약을 한것이 아니라 AT&T가 사활을 걸고 달려들어서 계약한겁니다.. 모든 통신사가 달라들었지만, 애플이 AT&T의 조건을 들어준거져.
-
AsuraRally 2009.06.24 12:49 ADDR EDIT/DEL REPLY
위피가 왜 중요한지 저도 어제 알았네요
지금 최신 휴대폰이 블루투스 기능이 되면 인터넷 전화를 공짜로 쓸수 있다는군요.
결론은 이통사들의 지금까지 주 수입원중 하나인 전화료와 나중엔 무선인터넷까지 공짜로 쓸수 있다는 얘기지요.
우물안의 개구리가 맞구요.우리 이통사나 제조사가 많이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그리고 .그동안의 정부시책이 세계의 방향과 정반대인것이 드러납니다.
또한 드럽게 비싼 통화료와 무선인터넷 패킷요금제가 사실은 다
공짜로 쓸수 있다는것도 알수 있구요.세상에 무슨 휴대폰을 2년 약정쓰는 나라가 어디잇읍니까?
휴대폰 제조사에서 일했던 사람은 다 알 수있읍니다. 휴대폰은 소모품이라는것을 ..
그런걸 약정 걸어 쓰게 만들다니....헐 우린 거꾸로 가는게 확실하구요.
이제 외산 밀려오면 저부터 먼저 외산 쓸겁니다.우리나라가 미워서 그런게 아니라
우리의 정책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를 알려주려고 그럽니다. -
-- 2009.06.24 16:03 ADDR EDIT/DEL REPLY
막는다고 좋은 건 아니지 어차피 수출해서 먹고사는데 국내에서만 보호하면 뭐하나 국제시장에서 도태될텐데....
-
공상플러스 2009.06.24 16:52 ADDR EDIT/DEL REPLY
몰라요 뭐 원래 우리나라가 이름만 it강국이지 자유롭게 글쓰는 곳이 있나, 아니면 찌질이와 악플러들이 넘쳐나질 않나, 불법 복제로 똥줄 빠지게 뛰어다니질 않나, 온라인 게임으로 실신하지를 않나.
뭐 하루이틀 일이 아님 -
ambient 2009.06.29 15:20 ADDR EDIT/DEL REPLY
포스팅 내용 중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있군요.
"우리나라는 더이상 IT 강국이 아니다."
더 이상 IT 강국이 아닌 것이 아니라, 한 번도 IT 강국이었던 적이 없었다..로 고쳐야 합니다.
그냥 그렇게 떠들었던 것일 뿐. -
iPhoneArt 2009.06.29 17:14 신고 ADDR EDIT/DEL REPLY
아이팟터치와 아이폰 추천정보 오픈캐스트 [http://opencast.naver.com/AA488/46]에 링크 발행했습니다. :)
작은것에 집착한 나머지 큰것을 잃고 나무에 집착한 나머지 수십년 공들여 가꾸어온 IT대국이라는 숲을 황폐화 시키는 어리석음을 모르고들 있습니다. 더욱 한심한것은 듣기싫은 소리, 뼈있는 충언이 싫다는 속내를 감추고 엉뚱한데 핑계를 대고 있다는 것 이지요......
어느순간 너무 답답해진듯 합니다..
It's sad. I feel the human rights of Korea has declined since the new government took power.
이번 정권에서만 그랬던것 같지는 않습니다. 적어도 IT 분야에 관해서 만큼은요.. 다만 이번 정권때 그런 문제점들이 더 크게 부곽된듯 합니다.
Would you care to elaborate? I would like to know what kind of policies there were in the Kim and Noh administrations that made you think that IT in Korea has always been backwards. (Unfortunately the word backward is only positive when used in backward compatible! ;-) )
지난 정권까지만 해도 IT 경쟁력이 높았다고 합니다만. 이미 현재의 모습에 대한 원인은 과거 정권이 마련해 놓았다는 생각입니다. 위피나 액티브엑스 등 노무현/김대중 전 대통령때 시작을 잘못한 정책들이 이제 드러나면서 큰 문제가 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I see. I think you are right on the Wipi and Active X. I agree that it started in the wrong direction. So do you think the government should have a say on the technologies that are built by the private sector? I guess it would be easy to intervene Active X, as it clearly alienates other OSes. The government can outlaw it based on that fact that it discriminates. How about Wipi? How would the government guide the technological advances of the private sector?
예.. 저역시 의견에 동감합니다. 정부의 정책으로 말미암아 고립되어버린것 같아요..
권위주의적인 성향이 아직 자리잡고 있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위에 계신분들은 뭐든지 자기가 통제를 해야 안심이 되는거지요...
통제를 하면 통제한 만큼만 발전하는걸 아직 모르나봅니다.. 지금은 오히려 발전을 가로막는...
혹 이런 성향이 일부가 아닌...오래전부터 내려오는 국민 전반적으로 내재되어있는 성향이 아닐까 조심스레 생각해 봅니다... 아니겠죠? ^^
참, 제 모니터만 그런건지... 오랜지색 글이 잘 안보이네요.. 요즘 눈이 침침해서 그런가? ㅎㅎ
그리고 흔히 "연고전"이라 하는데 "고연전"이라 하심이... 고대동문이신가요? ㅎ
저도 공감합니다. 우리나라는 특히 권위주의적 성향이 강한것 같습니다. 보이지 않는것은 그냥 무시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강한 통제를 통해 무언가를 이끌어 내려고 하는 모습이 우리나라의 발목을 잡고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국민성향이라고 보기엔 대한민국의 역사가 너무 짧지 않나 싶구요.. 서서히 고쳐나갈수 있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스킨은 제가 만든게 아니라서..ㅡㅡ 수정을 하려면 공부좀 해야겠군요..ㅎㅎ 명색이 컴퓨터 박사수료생인데.. 갈수록 코드 보는게 싫어지네요..ㅡㅡ
그리고.. 고연전이죠.. 연고는 상처날때 바르는 약입니다.. (학부는 고대 94학번이고, 현재 고대 컴퓨터학과 박사과정 수료중입니다..^^)
모든 일에 양극화가 심해서... 적당한 권장은 존재하지 않고, 규제 또는 의무... 이거 두 개더군요. GPS도 의무화 추진한다는데... 국민감시도 할 수 있겠더군요.
규제와 의무는 다양성을 축소시키고 획일화 시켜버리게 됩니다.. 결국 창의성이 말살될텐데요.. 정책 결정하는 사람들이 너무 근시안적인것 같습니다..
군에 있을때나..대기업에 있을때 겪었는데
뭔가 문제가 생기면. 거기에 대해 대처했다고 "실적"을 만들기 위해
새로운 규칙을 만들더라구요
근데 그 규칙이라는게 다각도로 고민하고 만든게 아니라 걍 땜빵식이라
폐단도 많이 생기고...
결국 지킬 수 없어 흐지무지 지키는 척만 하게 되고..
이렇게 되더라구요...
국가의 규제라는 것도 그렇게 흘러가는듯 합니다...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가 바로 그부분입니다. 실적을 위해 근시안적인 땜빵식 대책을 마련하는거죠.. 그리고 그 대책에 문제가 생기니 또 그 문제에 대해 또다른 땜빵을 하고.. 악순환입니다.. 더 큰 문제는 높은분들은 그걸 모른다는 점이죠..ㅜㅜ
여러분 아이폰 유저 뒤통수 친 케이티에 대응해야 합니다. http://espn.tistory.com/1458
같은 리플을 2개나 다셨네요..
아, 그런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