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 나오는 Net Applicaiton의 시장 점유율이 발표되었다.
여전히 윈도와 IE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파이어폭스와 애플 제품은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주목할만한 것은 아이폰과 아이팟 터치의 점유율인듯 싶다.
아이폰과 아이팟 터치의 점유율을 합하면 리눅스를 위협한다..
여기에 신제품이 출시된다면 아이폰과 아이팟 터치가 올해 안으로 리눅스를 넘어설듯 하다.
맥도 2009년도 1월에 정점을 찍고 바로 하락했지만 그 후로 다시 서서히 올라가고 있다.


브라우저는 IE의 하락세가 극명하게 나타난다.
무려 2개월사이에 1.3% 이상 점유율을 깎아 먹었다.
새로 공개된 IE8도 역부족인가?
2009년 6월 리포트가 공개되면 알수 있을듯 하다.
그와 함께 크롬의 급성장이 눈에 띈다.

적어도 애플은 브라우저 시장과 스마트폰 시장을 모두 성공적으로 진입한듯 하다.
아니 스마트폰 시장은 이미 최고가 되어 버렸다.
그리고 이번 WWDC 2009에서 루머처럼 새로운 아이폰이 출시된다면,
그 영향력은 더욱 커질것이다.

여러 분들의 의견에 따라, 번역은 계속 '반말'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원문링크: David Alison's Blog: Some cool Firefox add-ons


지난 한주 반 동안, 파이어폭스를 메인 브라우저로 쓸만한지 시험하는 중이다.
윈도우즈를 쓰던 시절 브라우저를 파이어폭스로 바꾼 이유는 그 놀라운 혁신 때문이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익스텐션 때문이었다. 이제 완전히 맥/리눅스 진영으로 돌아선 마당이니, 이 동네에는 어떤 애드온이 쓸만한지 알아봐야겠다고 맘을 먹었다.

중요한 사실 한가지: 웹 브라우저는 더 이상 웹 페이지만 보는 도구가 아니다. 나는 웹 페이지를 사용해 매우 많은 양의 데이타를 주고받으며, 특히 이 블로그가 그렇다. Blogger 서비스를 사용하는지라 in-page 에디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블로그에 리플을 다시는 분들도 틀림없이 단순한 텍스트 입력 환경에서 작업하고 계실것이다. 구글 등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제품들을 살펴보면 에디터의 세상도 엄청나게 넒다는 걸 아시게 될 것이다. 여기에는 물론 이메일,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도 포함된다.

난 웹 브라우저에서 수많은 개발 업무도 진행한다. 어떤 경우는 단순히 프로그램의 결과를 보기도 하지만 다른 때는 CSS 문제나 이미지 정렬 문제를 체크하기도 한다. 다행히도 파이어폭스 애드인 스페이스 Firefox add-in space 에는 삶을 간편하게 해줄 방대한 양의 도구들이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보면 아래 소개하는 애드온들이 나에게는 엄청나게 도움이 된다.


Foxmarks
몇 년동안 계속 그래왔지만, 난 업무를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를 사용한다. 내 맥 프로는 주요 개발 툴이자 듬직한 마당쇠이며, 맥북 프로는 여행 및 업무 회의를 위해 들고다닌다. Ubuntu 워크스테이션은 몇 몇 시험 및 일부 서비스용 호스트, 그리고 잡무용으로 쓰고 있다. 각각의 컴퓨터마다 파이어폭스가 깔려 있고, 그러다 보니 서로 다른 3 종류의 북마크가 있다.

Foxmarks 는 북마크를 싱크로시켜주는 애드온 free 온라인 서비스이다. 북마크 동기화에만 도움이 되는 게 아니라 어디서든지 당신의 북마크에 접속할 수 있는 웹사이트도 제공한다(my.foxmarks.com). 애플의 Mobile Me에서 제공하는 북마크 기능과 매우 유사하지만, 이 서비스는 공짜다. Mobile Me에서는 파이어폭스 북마크를 지원하지 않으니 북마크를 싱크로에는 이 도구를 사용하시기 바란다.


BBCode
나는 온라인 포럼이나 이 블로그의 리플을 보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는 편이다. 이런 경우에 HTML 링크나 문서 포맷, 이미지 링크 등을 첨부하는 게 상당히 힘들 수 있다. BBCode 는 포맷 잡는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메뉴들을 제공한다. 나도 이 익스텐션은 꽤 오랫동안 사용해왔으며, 여러분도 포럼 활동을 하신다면 이 애드온이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Forecastfox
날씨를 찾아보는 방법이라면 손에 넘칠 정도로 많이 갖고 있지만, 그래도 브라우져의 status bar에서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면 정말 좋지 않겠는가. Forecastfox는 바로 이 용도에 안성맞춤이다. 이미 몇 년 전부터 쓰고 있는데, 우리 동네의 레이다 이미지도 볼 수 있고 클릭해서 AccuWeather 기상예보도 살펴볼 수 있다.


ColorZilla
웹 기반 디자인을 할 때 큰 문제점 중 하나가 바로 색상을 정확히 맞추는 작업이다. 어떤 경우 웹 페이지의 백그라운드 색상이 이미지의 RGB 컬러와 정확히 일치해야 할 때도 있다. ColorZilla 의 "color dropping" 을 사용하면 웹 페이지의 어느 부분의 RGB 색상이라도 간단하게 찾아낼 수 있다.

색상만 알아내면 클립보드에 표준 포맷으로 복사했다가 나중에 HTML이나 CSS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Firebug
웹 개발 업무를 하시는 분이라면 Firebug 를 사용해서 방문하는 페이지의 HTML, CSS, 자바스크립트 등에 대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다. 사실 애드온이라 부르는 건 문제가 있다. 너무나 기능이 막강해서 거의 개발 환경에 맞먹을 정도이니 말이다.

이 정도가 내가 골라본 첫 번째 파이어폭스 익스텐션 리스트이다. 1Password도 애드온으로 볼 수 있지만 일단은 제외했다. 그리고 파이어폭스에서는 Control-Command-D로 사전을 불러낼 수 없다는 점 때문에 괜찮은 사전도 찾아다니는 중이다.

파이어폭스가 제공하는 애드온이나 테마는 정말 엄청나서, 갯수만 5,000개가 넘는다. 수가 많다고 품질이 좋다는 건 아니지만, 아직도 써보고 싶은 애드온들은 많기만 하다.

혹시 여러분이 좋아하는 애드온이 빠져있는가? 꼭 알려주시길!

==============================================================================

제가 좋아하는 애드온은..
머니머니 해도 All-In-One Gesture와 Cooliris입니다..
마우스 제스쳐 기능이 너무 편해져서 이젠 제스쳐 기능이 없이는 아무것도 못하게 되는듯 합니다..^^
최근엔 Inquisitor를 잘 사용하고 있네요..^^


하드코어 PC 광의 맥 사용기는 애플포럼의 해든나라님께서 번역해주신것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애플의 맥이 인터넷에서 8.87%의 점유율을 차지했다고 리포트가 나왔다.

http://apple20.blogs.fortune.cnn.com/2008/12/01/mac-internet-share-hits-record-882-windows-drops-below-90/

11월 인터넷 점유율에서,
맥은 8.87%를 차지했고,
MS의 윈도는 89.62%를 차지했다.


맥은 전월에 8.21%를 차지했다.
즉 0.61%의 점유율 상승을 보였다.
또한 아이폰은 0.37%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애플 제품의 점유율은 9.24%를 차지하게 되었다.

리눅스도 0.71%에서 0.82%로 늘어났다.

브라우저는 IE가 69.86%를 차지하였고,
파이어폭스가 20.73%,
사파리가 7.10%를 차지하였다.


전월 대비 사파리와 크롬의 약진이 눈에 띈다.
사파리는 8.52%, 크롬은 12.16% 점유율이 상승하였다.
크롬의 출시로 웹킷 엔진 기반의 브라우저들이 재조명을 받는듯 하다.

전월 대비 운영체제와 브라우저의 실적 비교는 다음 표와 같다.

이런 데이터를 볼때마다,
우리나라의 데이터가 궁금해지고,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그래프가 나올수 없다는 현실이 안타깝다..

이렇게 게으른 연재 속도에 이런 말 하면 믿으실까 싶지만,
전 번역할 때 정말 행복합니다.

원문링크: David Alison's Blog: Safari or Firefox?



윈도우즈를 쓰는 동안 참 많은 브라우져를 거쳐왔다. 모자이크를 시작으로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 그리고 마지막으로 -난 하드코어 마소광이었으므로- 인터넷 익스플로러까지. 물론 이 때의 익스플로러는 초기 버전들이라 정말 스팩타클하게 다운되곤 했었다. (원문: the thing would frequently crash in spectacular ways) 시간이 지나 익스플로러도 개선되면서 상당한 안정화가 이루어졌다. 뭐, 보안에 너무 많은 구멍이 뚫려있어 마이크로소프트가 손을 들 정도이긴 했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윈도우즈 세상의 디 팩토 스탠다드가 된 이후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더 이상의 개선작업을 관두고 오로지 보안 문제에만 집중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때쯤 모질라에서 파이어폭스의 첫번째 버전이 출시되면서, 나에게도 IE가 아닌 다른 뭔가를 살펴볼 이유가 생겼다. 불여우는 빨랐고, IE에는 없는 탭 브라우징이 있었으며, IE에 꾸준히 탑재되었던 보안 구멍들이 없었으며, 가장 중요한 점은 대부분의 웹 페이지를 IE만큼이나 잘 보여주었다.

난 잽싸게 주력 브라우져로 불여우 한마리를 입양했고, 몇 년 후 마이크로소프트도 새 브라우저에 뭔가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사실을 서서히 깨닫기 시작했다. 불여우는 스킨, 플러그인, 익스텐션 등의 새로운 기능을 더하면서 익스플로러보다 항상 한 발자국 앞서 나가는 것 같았다.

윈도우즈는 그렇다 치고. 맥은?

맥으로 스위칭하면서 난 사파리 대신 파이어폭스를 쓰게 될거라 생각했다. 불여우는 내가 맥에 가장 먼저 설치한 프로그램이기도 했다. 그러니 사파리와 불여우를 모두 써 본 다음 주력 브라우져로 사파리를 선택한 내 결정에는 나도 놀랄 수 밖에. 불여우 쓰는 일은 개발 업무할 때 익스텐션이랑 XML 뷰어가 필요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전부였다.

불여우의 어디가 맘에 안들어서? 웹 페이지를 로딩하고 랜더링하는 속도가 사파리에 비해 상당히 느렸다. UI에는 '맥 다운 느낌' 이 없었고, 툴바는 꼭 오래된 윈도우즈 프로그램처럼 생겼었다. 나는 깔끔하고 깨끗한 애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사랑한다. 혹자는 외모가 스파르탄 같다고 말하지만 내게는 깨끗하고 군더더기 없어서 좋다.

파이어폭스와 사파리는 form 콤포넌트의 랜더링도 다르게 처리했다. 사파리의 풀다운 리스트와 버튼은 맥의 UI와 동일하지만 불여시는 과거 윈도우즈 98 시절처럼 회색의 납닥한 사각버튼으로 표시했다.

파이어폭스 3.0 등장하다.

불여우 3.0이 출시되었다는 말과 내가 이프로그램을 설치해서 메인으로 쓸만한지 알아본다는 말은 서로 동의어다. 난 새 버전을 이전 버전 위에 덮어버리고 한번 놀아보기 시작했다.

주의: 혹시 1Password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환경설정에서 리셋을 꼭 하시기 바란다.

가장 먼저 눈에 띄인 건 이전 버전보다 굉장히 빨라졌다는 사실이다. 아주 하드코어하게 시험해본 건 아니지만 -주관적인 시험 몇 가지 정도- 거의 사파리와 맞먹는 수준이었다. UI도 개선되어 더 맥 프로그램답게 되었으며, 특히 탭이랑 툴바 랜더링이 마음에 든다:



그리고 web forms에도 OS X의 전통적인 콤포넌트를 채용했다. 이게 내게는 꽤 중요한 부분이라서 3.0에 적용되었다는 점이 매우 반가웠다.

파이어폭스 개발팀은 굉장히 멋진 검색 기능도 탑재했다. 주소창 우측의 아래쪽 화살표를 클릭하면 최근 방문한 기록들을 보여주는데, 타이핑 시작하면 입력한 글자와 일치하는 주소들이 -북마크와 주소창 양쪽 모두- 리스트에 표시된다. 브라우져판 스팟라이트라고 보면 되겠다. Very cool.

사파리의 주요 기능 중 파이어폭스에 없는 것이 세 가지 있다.

1) Dictionary Lookup
2) 업로드 창에 Drag and drop 지원
3) Snapback

이 중에서 나한테 없으면 곤란한 기능은 1번, 사전 찾아보기 기능이다.
하지만 파이어폭스의 수많은 개선점들을 보면서, 다음 주까지는 이 브라우져를 가지고 디폴트 브라우저의 가능성을 알아볼까 싶다.
어제 하루 내내 써 본 결과 그럴 가능성이 꽤 있어보인다.

=====================================================

국내에서는 아무래도 사파리보다는 불여우가 좀 더 쓰기 편합니다..
물론 익스플로러가 없으면 여전히 불편함은 감수해야겠지만요..
그래도 불여우를 좀 더 많이 사용하게 되는듯 합니다..
물론 맥용 사이트는 사파리를 사용합니다..

구글에서 크롬을 내놓고,
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사파리도 잘 보여주는 웹페이지가 늘어나는듯 합니다.
(크롬과 사파리 모두 렌더링 엔진으로 웹킷을 사용합니다.)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역시 돈과 관련된 일들은 익스플로러가 필요하다는거..
그리고,
여전히 괜찮아질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게 더욱 답답합니다..


하드코어 PC 광의 맥 사용기는 애플포럼의 해든나라님께서 번역해주신것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애플에서 사파리의 다음 버전에 대한 사항을 공개했습니다..
사파리에 대한 불만이 맣아서 일단 업데이트 내용을 미리 공개한듯 합니다..
조만간 업데이트 된다니 기다려보는것도 나쁘지 않을듯 합니다..

Coming Soon

  • Support for International users
  • International text input methods
  • Advanced text (contextual forms, international scripts)
  • Localized menus and help
  • NTLM support
  • PAC file auto-detection
  • FTP directory listings
  • Link to proxy settings from Safari (Safari respects the proxy settings in the Windows Internet control panel)
  • Cookie management
  • LiveConnect support
  • Tooltips
  • Spell checking
  • Printing page numbers, titles, margins

Apple 사파리 다운로드 페이지에 나와있습니다..
무엇보다도 internation users에 대한 지원이 가장 반갑네요..
한글 사용에 문제가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대다수의 국내 맥 유저들은 파이어폭스를 가장 많이 사용할것이라 생각된다.
국내 브라우징 환경이 IE와 파이어폭스에 최적화되어있기 때문이다.
태터툴즈와 티스토리도 새 글을 포스팅할때 사용되는 위지위크 에디터도 파이어폭스와 IE에서만 제대로 동작한다.
한편, 파이어폭스를 내놓고 있는 모질라재단에서능 맥유저만을 위한 브라우저도 내놓고 있다.
그 브라우저가 바로 Camino이다.

실제로 카미노는 매우 가볍고 맥의 특성을 잘 살린 브라우저로 알려져 있다.
사파리와 비슷하면서도 사파리의 부족한 기능을 제공하는 브라우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ac 유저를 위한 브라우저 Camino가 1.0.4에서 1.5로 대거 업데이트 되었다.
요 사양은 다음과 같다.

Spelling

Spell-checking using the Mac OS X spelling dictionaries is now enabled in web page text fields.

Feed detection

When a web page offers an Atom or RSS feed, Camino will display an icon in the location bar, and clicking the icon will pass the feed to the system’s default feed reading application.

Session restore

Camino can remember which pages were open when quitting and restore them the next time it opens.
After a browsing session has terminated unexpectedly, Camino will offer to restore the pages which were open previously.

Improved tabbed browsing

Single-window mode: There is a new option to force links that would open new windows to open in new tabs instead.
Tab jumpback: Camino now supports returning to the original tab after viewing a page in a new tab.

Keychain compatibility

Camino can now share Keychain entries with Safari.
Keychain entries saved by Camino are now saved in a way that allows other applications to read them.

Pop-up blocking

The pop-up blocking notification is now more visible.
The new pop-up notification offers more powerful controls for managing pop-ups.

Enhanced plug-in control

Camino 1.5 includes the ability to disable all plug-ins.
Flashblock: The new “Block Flash animations” option prevents Flash from starting until the user clicks the play icon. Window zooming
The Zoom command now resizes the window to fit the current page‘s content instead of making the window full-screen.

Downloading

A new optional toolbar icon in the Downloads window allows users to move downloaded files to the Trash.
Items in the Downloads window can now be automatically removed upon completion or when quitting Camino.

Searching

The search field in the toolbar is now resizable.
The context menu for selected text in web pages now includes a “Search” item.

Cookie management

Camino now includes an option to accept cookies only for the current session. User interface polish
Camino 1.5 includes a major reorganization of menus and keyboard shortcuts. The preference panes have been redesigned.

Web content

Camino now uses version 1.8.1 of Mozilla’s Gecko rendering engine, which contains thousands of bug fixes and support for new technologies like JavaScript 1.7.



국내의 많은 홈페이지들이 파이어폭스와 IE뿐이 아닌 다양한 브라우저를 지원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또한, 맥 유저들은 파이어폭스만이 아닌 다양한 브라우저를 이용해보는 것은 어떨까..

카미노의 홈페이지는 http://www.caminobrowser.org/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