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업그레이드에 해당되는 글 8건
- 2010.04.02 인텔 160기가 SSD 장착한 맥북프로 (14)
- 2009.10.21 애플 아이맥, 맥미니, 맥북, 마우스, 애플리모트 리뉴얼 (19)
- 2009.09.04 OSX 10.6 스노우 레퍼드 일주일가량 사용기 (14)
- 2009.07.03 너무 복잡한 윈도와 비교되는 OSX 업그레이드 (33)
- 2008.12.10 신형 알루미늄 맥북에 써드 파티 메모리 이상증상이 나타난다. (6)
- 2008.10.17 Adobe CS4 Cross Upgrade 지원 (7)
- 2008.03.18 맥헤이스트2 스피드 다운로드5 무료 업그레이드.. (2)
- 2007.02.04 Apple의 It's time to get a Mac 캠페인 (2)
글
'Apple > 나의 맥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FINE의 아이패드2용 Smart Case 사용기 (4) | 2011.07.19 |
---|---|
인텔 160기가 SSD 장착한 맥북프로 (14) | 2010.04.02 |
Late 2006 맥북프로에 장착한 SSD (10) | 2010.03.26 |
SSD를 장착한 맥북프로, 그리고 지름. (6) | 2010.03.25 |
맥북프로 AS 받았습니다. (4) | 2009.07.15 |
부족한 메모리 (22) | 2009.04.22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1. 아이맥
머랄까.. 메이너 리뉴얼이라고 해야할까..
메이저 모델 체인지도 아니고 마이너 업그레이드도 아닌...
기존의 아이맥과 비슷한데, 화면 아래부분이 작아진듯..
게다가 화면 크기도 종전의 20인치, 24인치에서
21.5인치, 27인치로 커졌다..
LED 백릿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SD카드 리더 내장..
성능은 당연히 좋아졌다..^^
가격은 미국은 1199달러부터, 우리나라는 1,650,000원부터이다.
2. 맥미니
맥미니야.. 디자인이 바뀔게 없어서..
성능은 확실히 좋아졌다..
메모리도 4기가 까지 지원하고..
특이한것은 스노우 레퍼드 서버가 설치된 맥미니가 나왔다.
ODD가 빠지고.. 대신 하드디스크가 500기가 두개가 들어가 있다.
가격은 미국은 899달러부터, 우리나라는 850,000원부터이다.
3. 맥북
맥북도 리뉴얼 되었다.
미묘하게 디자인도 바뀌었다.
그래도 기본적으로 기존의 화이트를 유지하고 있다.
멀티터치 트랙패드를 내장했고,
배터리가 빌트인되고 7시간까지 사용 가능하다.
LED 백릿은 기본이다.
무게도 약간 가벼워진듯..
가격은 미국은 999달러부터, 우리나라는 1,390,000원부터이다.
4. 마우스
말많던 애플의 마이티 마우스가 드디어 바뀌었다..
볼 청소가 불가능해서 원성이 많았는데..
볼을 없애버렸다..
그리고 대신 멀티터치를...
디자인 이쁘다..
사용성은? 써봐야 알겠다..
아직 유선은 안나왔고 무선(블루투스)만 나왔다..
마우스에서 멀티터치를 지원해서 앞으로, 뒤로가 가능하다니..
편하기는 할것 같다..
이름도 바뀌어서 매직 마우스이다.
가격은 미국은 69달러, 우리나라는 89,000원이다.
5. 애플 리모트
애플 리모트도 바뀌었다.
알루미늄 재질로 보이고, 버튼은 검정색이다..
맥은 이제 판다뷰로 다 간듯 하다..
가격은 미국은 19달러, 우리나라는 25,900원이다.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가격이 좀 비싼것 같다.
10%정도의 부가세를 생각한다면,
대략 1달러당 1250원 정도의 환율이 적용된듯 하다..
요즘 1160원대를 유지하고 있는것을 생각하면 조금은 높은 환율이다.
그래도 예전보다 약간 내려간 환율 적용이다.
미국에서는 맥북프로와 아이맥 모두 1199달러부터 시작하는데,
우리나라는 맥북프로는 1,750,000원, 아이맥은 1,650,000부터 시작한다..
10만원 가량 차이가 난다..
맥북프로는 1310원정도의 환율이 적용되었다.
애플의 적절한 환율 적용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개인적으로는..
새로나온 매직마우스에 엄청난 뽐뿌가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자파 인증이 필요하다..
1달정도는 그냥 열심히 보고만 있어야 할것 같다..^^
'Apple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년도 대비 74%나 성장한 맥데스크탑 (6) | 2009.12.16 |
---|---|
2009년 4분기에만 천만대의 아이폰 판매 예상 (4) | 2009.12.15 |
애플 아이맥, 맥미니, 맥북, 마우스, 애플리모트 리뉴얼 (19) | 2009.10.21 |
애플 4분기 실적 발표 (2) | 2009.10.20 |
App Store 20억 다운로드 기록.. (0) | 2009.09.29 |
애플 9월 9일 이벤트 (2) | 2009.09.01 |
설정
트랙백
댓글
-
erin.js.lee 2009.10.21 02:55 ADDR EDIT/DEL REPLY
올해 8월 말... 그러니까 마지막 주쯤에... 맥북 프로를 샀습니다. 날짜가 28일이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snow leopard 나오는 날 구입했으니까요... 아이맥을 저 가격에 살 수 있었다면 그 때 저 성능이였다면.. 하는 아쉬움이 생기네요....
-
-
하얀 비 2009.10.21 08:08 신고 ADDR EDIT/DEL REPLY
매직마우스는 당장이라도 사러 가야겠어요!!!! 작년부터 마우스가 새로 나올 것이라고 했는데...이제서야 나왔군요. 역쉬....^^
-
배가본드 2009.10.21 08:38 ADDR EDIT/DEL REPLY
어제 맥북프로,마이티마우스 배송받았는데..
신제품이라니 ㅠㅠ
맥북이랑 프로랑 차이는 알루미늄이냐 아니냐만 남은건가요 ㅡㅡ;
마우스는 당장 또 사고싶네여.. 아 저질 마이티 ㅠㅠ -
새우깡소년 2009.10.21 09:42 신고 ADDR EDIT/DEL REPLY
기대를 저버러지 않는 마이너 업그레이드 이지만, 매직 마우스를 비롯하여 jony ivy가 주장한 "Simple and more"를 제대로 보여준 업그레이드 라인업 입니다.
이제 매직 마우스와 아이맥에 대한 구입 의욕을 계속 가져가야 하겠어요.
제앞에 있는 맥북프로가 더욱 불쌍해지는 요즘입니다.
잘 지내시죠? 애플 신소식이 drzekil님을 더욱 생각나게 되네요. ㅋ -
-
난감하군 2009.10.21 12:04 ADDR EDIT/DEL REPLY
요새 맥에 관심이 많았는데...아이맥군이 급 땡기는 발표네요..^^ 흠...애플을 맛볼때가 다가오는 건가?..--;
돈도 없는데 걱정이 많네요..--; 특히 저 마우스는...맥에만 쓸수 있다는.....--; -
radioperfume 2009.10.21 13:03 ADDR EDIT/DEL REPLY
그래도 꾸준히 환율에 맞추어서 가격을 내리고 있네요..
1000원대로 진입하면 언젠간 그에 맞추어 현실적인 가격으로 발매되지 않을까요??
올해 5월 이전 수준으로요.. 아.. 그땐 천국이였는데.. -
스카이호크 2009.10.21 22:19 ADDR EDIT/DEL REPLY
판다뷰에서 뿜었습니다.
그나저나 마우스가 충격과 공포로군요. 허나 게임에는 마이티보다 별로 나을 거 같지 않아서^^;;a
글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 나온 아이팟라인 가격 이야기 (10) | 2009.09.14 |
---|---|
애플의 9월 9일 이벤트 (8) | 2009.09.14 |
OSX 10.6 스노우 레퍼드 일주일가량 사용기 (14) | 2009.09.04 |
9월에 열릴거라 예상되는 애플의 이벤트. (4) | 2009.08.14 |
애플 타블렛 정말 나올까? (12) | 2009.07.28 |
어쩌나 아이폰? 방송법 통과된 미래의 모습.. (14) | 2009.07.24 |
설정
트랙백
댓글
-
새우깡소년 2009.09.04 14:52 ADDR EDIT/DEL REPLY
저도 슬슬 구미가 땡기는데요. ... 버그는 없나봐요? 외국 통신들을 보니 일부 버그가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설치기 잘 보았어요 ㅎ -
meteos 2009.09.04 15:33 ADDR EDIT/DEL REPLY
저는 adc student membership 으로 오는 스레빠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분명히 오겠죠?^^;
좀 늦긴 하겠지만 그만큼 버그리포트 후 수정이 되고 있겠죠 뭐 ㅎㅎ
얼른 오기만을 학수고대중입니다. -
극악 2009.09.04 21:20 ADDR EDIT/DEL REPLY
돈 생기면 일순위로 질러야겠군요^^; 무척 기대됩니다.
하드용량도 부족한데 속도도 빨라지고 하드용량도 늘릴수 있네요. -
Jack Park 2009.09.05 01:16 ADDR EDIT/DEL REPLY
전 아직 흰둥이의 기본 프로그램도 잘 사용할 줄 아는 편이 아니라서..일단 원래 시스템을 계속 사용할 생각입니다..좋은 글 잘 보고 가여
-
kori2sal 2009.09.06 09:10 ADDR EDIT/DEL REPLY
저의 경우에는 스노우를 깐 다음부터 열려 있는 창의 위치 변경이 안 되던데....
다른 분들도 그런가요? 아님 버그일까요? -
마음으로 찍는 사진 2009.09.06 12:46 ADDR EDIT/DEL REPLY
저는 기존 레퍼드에 있는 사파리에 문제가 조금 있어서 이 기회에 클린 인스톨 했습니다.
별로 깔려 있는게 없고, 며칠 사용해 보지 않아서인지 그리 크게 빠른 효과를 보지는 못했네요.
점점 빨리짐을 느낄 수 있기를 기대 합니다. :) -
푸드라이터 2009.09.09 23:03 신고 ADDR EDIT/DEL REPLY
ㅜ.ㅜ 전 이상한 폰트 문제가 있습니다.. 꼭 프로그램 인스톨하려고 할때나 업그레이트할 때 경고창 중 박스로 폰트가 하나도 않보이는 현상이 생깁니다.. ㅜ.ㅜ 사무실에 있는 다른 친구들은 그런 현상이 없는데 유독 제 맥북에서만.. ㅜ.ㅜ
글
한편 그보다 조금 일찍 OSX의 새로운 버전인 스노우 레퍼드가 역시 출시할 예정이다.
최근 윈도7의 가격이 발표되었다..
그런데..
업그레이드 가격 정책은 정신이 하나도 없다..
당최 유저가 얼마를 주고 업그레이드 해야 하는지 알수가 없다.
그에 관련된 기사까지 나왔다.
그런데 더 무서운것은..
그 기사를 읽어도 잘 모르겠다는 점이다..
물론 우리나라는 정품 유저가 많지 않아서 큰 무리가 없을지도 모르지만..
정품유저들이 더 큰 피해를 본다는 생각이 든다.
그에 비해 OSX 10.6 스노우 레퍼드는?
위의 기사 마지막에도 나와있듯이..
29달러뿐이다..
(정확히는 레퍼드에서 업그레이드할 경우에..
레퍼드 유저가 아니라면 129달러이다.)
지금 맥을 구입한다면 그냥 무료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10년도 더 지난 이야기이지만,
스티브 잡스가 애플에 돌아왔을때,
애플은 매우 복잡한 맥 제품라인을 갖고 있었다.
직원들도 그 차이를 정확히 알기 힘들 정도로 말이다..
애플사의 벽에는 "나에게 적절한 맥을 고르는 방법"이라는 포스터가 자랑스럽게 걸려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러한 복잡함은 스티브 잡스의 복귀로 모두 없어지고 간략화되었다..
지금의 윈도 가격체계가 애플의 그것과 무엇이 다른가?
윈도XP까지는 크게 복잡하지 않았다..
일반인에게는 홈과 프로페셔널이 전부였다.
하지만 비스타에서 라인업이 너무 복잡해졌고,
그것이 윈도7에서 계속 이어지고 있다.
그러다보니 업그레이드는 그보다 더 복잡해져 버렸다..
이제 올해 하반기가 시작했다..
올 겨울이면 또한번의 차세대 운영체제에 대한 승부가 이루어지고,
그 승자가 대략 나올것이다.
그리고, 윈도7보다 스노우레퍼드가 더 유리해보이는것은 내가 애플을 좋아하기 때문일까..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쩌나 아이폰? 방송법 통과된 미래의 모습.. (14) | 2009.07.24 |
---|---|
아이폰 어플리케이션이 훌륭한 이유는? (14) | 2009.07.07 |
너무 복잡한 윈도와 비교되는 OSX 업그레이드 (33) | 2009.07.03 |
아이폰 출시에 대한 불안감 (19) | 2009.06.24 |
아이폰 출시 이야기를 통해 살펴보는 우리나라 IT 현주소 (34) | 2009.06.23 |
아이폰을 기다리며 삼성폰을 보면서.. (10) | 2009.06.19 |
설정
트랙백
댓글
-
구리교 2009.07.03 20:50 ADDR EDIT/DEL REPLY
어느정도는 수많은 플랫폼, 소프트웨어, 윈도우 버젼을 대상으로 해야하는 M$와 애플은 상황이 달라서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생각해요
물론 Home premium 및 starter 버전이나 preorder 에관한 부분은 분명 수익창출을 위한 낚시라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blastit 2009.07.04 05:09 EDIT/DEL
성능이 다양한 하드웨어를 하나의 운영체제로 묶기 힘든 MS로서는 성능제한과 제품가격을 적절히 나눌 수 밖에 없었다고 봅니다만
-
극악 2009.07.03 23:23 ADDR EDIT/DEL REPLY
레오파드로 처음 맥을 접했는데, 더 좋은 스노우 레오파드가 나온다니 정말 기다려집니다^^; 업그레이드 가격도 비스타->윈7보다 훨씬 저렴한 29.99$ 밖에 안되더군요.
-
Draco 2009.07.03 23:41 ADDR EDIT/DEL REPLY
OS나 업그레이드 비용에 대해서는 윈도나 맥OS를 비교하는건 좀 안맞지 않을까요.
맥OS는 성격이, 맥을 샀을때 딸려오는 기본 프로그램입니다. 맥을 구입할때 비용이 포함되어 있지요.
윈도는 따로 구입하고요.
개발 여건만 하더라도, 애플은 자신들이 만든 하드웨어와, 자신들이 관리하는 어플만 지원하면 되지만, MS는 그렇지를 못하지요. 호환성 테스트에 들어가는 비용은 아마 수만배라고 해도 과장이 아닐겁니다.
그리고 윈도는 맥OS와 승부를 겨루는 관계가 아니지요. 어차피 PC유저가 "윈도를 살까 맥OS를 살까" 고민하진 않으니까요. 맥OS점유율은 맥 판매량과 종속적입니다.
윈도 비스타나 7이 너무 많은 버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저도 동의합니다.
(내용수정 11:40분)-
drzekil 2009.07.04 00:00 신고 EDIT/DEL
예.. 저도 윈도에게 호환성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처음에 그런 길을 택한것은 윈도의 원죄같은거라는 것이죠..
OSX가 애플의 제품에서만 사용할수 있도록 한게 애플의 원죄인것 처럼 말이죠..
그런것때문에 개발 비용이 많이 들었다면 역시 윈도가 짊어져야 할 짐이라 생각합니다..
한편 다르게 생각하면 난 이런 하드웨어는 사용하지 않을건데 그에 대한 비용까지 부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좀 불합리하다고 생각할수도 있지 않나요..
너무 곁다리로 빠진듯 하네요..^^
제가 글에서 이야기하고 싶었던것은
너무 많은 버전들과 이벤트 등으로 인해,
유저들은 얼마나 들여서 어떻게 업그레이드 해야 하는지 혼란스럽다는 점입니다..
-
글쎄요.. 2009.07.04 01:20 ADDR EDIT/DEL REPLY
이것은 호환성의 문제이기 보다는.. "서버"까지 지원하게 만든 마이크로 소프트로서는 어쩔수없는 선택이라고 보여집니다..
맥의 경우.. 주로 mac book 즉. .개인용 컴퓨터를 위한 환경을 생각하면.. 업그레이드 자체가 단순화될수 밖에 없구요..
마소의 경우 XP 나오기 전에 서버 관련 제품은 W 2k server/professional 버전은 win95/98과는 별개로 존재하다가.. xp가 나오면서.. 서버군과 개인용 OS를 통합하면서 복잡해 지기 시작했는데요..
거기다가 64비트용을 따로 지원하면서부터 업그레이드가 더욱 지저분해진거는 사실입니다..
애플과 마소를 단순 비교하기가 어려운것이..
애플의 OS는 주로 애플 프로덕트만을 위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최신버젼을 싼가격에 제공하는것이 점유율을 더욱 올릴수 있는 방법이라 보여지지만..
마소의 경우는 OS자체가 프로덕트이기 때문에.. 제품을 다양화시키는건 회사입장에서.. 당연하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요즘 core duo2 이후로.. 64bit용 cpu가 대세인데.. 왜 32/64를 따로 파는지에 대해서는 저도 불만입니다..-
parting 2009.07.07 03:04 EDIT/DEL
MacOS X도 서버 제품군 있습니다..
처음부터 있었습니다 -0-;;
MacOS X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NextStep이 원래 enterprise용이라서.
-
글쎄요.. 2009.07.04 01:23 ADDR EDIT/DEL REPLY
그리고 "OSX가 애플의 제품에서만 사용할수 있도록 한게 애플의 원죄인것 처럼 말이죠"는 사실과 다릅니다..
실지로 Intel 계열 CPU를 애플에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oS X를 일반 PC에 설치하는게 파워유저들한테는 유행처럼 스쳐갔었죠... -
snowall 2009.07.04 06:20 신고 ADDR EDIT/DEL REPLY
음...윈도의 서버군은 다른 라인업으로 가고 있으니 비스타나 윈도7의 라인업이 복잡한것과는 별도의 문제라고 봅니다.
이것저것 다양한 기능을 개발하는데 돈이 더 들어간건 인정하지만, 이미 개발된걸 놓고서 기능을 빼서 "홈 버전"이라고 싼 척 하고 파는건 맘에 들지는 않아요. 그냥 하나의 버전만 만들어 놓고, 하드웨어에서 그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윈도를 설치할때 그 기능을 빼고 설치하면 되겠죠.
가령, 윈도 비스타에서 Business버전과 Ultimate버전의 차이는 BitLocker와 미디어센터의 차이인데, 가격차이는 한국에서는 14000원입니다. 36만원에서 14000원 차이니까 약 4%정도의 가격차이인데, 이럴거면 Business버전과 Ultimate버전을 합쳐버리고 가격도 하나로 만드는게 유저들의 고민을 줄여줬겠죠.
Home basic과 Home premium의 차이도 에어로UI, TabletPC지원, 미팅 스페이스, 미디어센터, 고급 게임 3종의 차이가 납니다. 이렇게 많이 차이가 나는데 가격은 겨우 12000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즉, 윈도 비스타는 홈 버전과 비지니스 버전, 이렇게 두개만 만드는게 더 낫다고 봅니다. 25만원짜리 구입하면서 12000원차이인데 누가 홈 베이직을 살까요...-_-;
어쨌든 이런 것들이 마케팅 측면에서는 실패했다고 봅니다. -
두리뭉 2009.07.04 08:32 ADDR EDIT/DEL REPLY
윈도우가 좀 복잡하긴 하죠. 아마 영업을 하다보니 여기도 맞춰주고 저기도 맞춰주고 그러면서 이윤도 남기고 하는식으로 가다보니 자연스레 저리된 것 같습니다. 게다가 저런 정식으로 나뉜 것 외에도 조립시장에 풀리는 DSP나 독과점법인지 뭔지 때문에 메신저와 미디어플레이어 탑재여부가 갈린 K와 KN 같은 것까지 실로 다채롭지요.
그렇지만 애플과의 비교는 좀 아니로군요. 애플 제품군의 UI 등은 MS가 배워야한다지만 게임기 제조사랑 게임개발회사를 비교하는 격이에요. -
류자키 2009.07.04 09:24 ADDR EDIT/DEL REPLY
한때 저도 리눅스도 드라어버도 지원도 안되는 메이커PC에 깔아보고 애플2가 제가 처음 접해본 PC였는데 지금은 OS쪽 잘 모르겠네요.
근데 비스타는 분명 실패한거 같아요. 익스플로어부터 제대로 되는게 없고 운영체제는 더 무거워진 느낌디더라구요. 윈도XP에서 업그레이드 욕구를 느낄수 없게 만듭니다.
복잡한 것도 문제지만 윈도7에서는 보통의 사용자 비지니스 부분에서도 반드시 업그레이드 할 이유를 제시해야 성공하겠죠.
맥 os는 제대로 만져본적 없어서 언급하기 그렇지만 아이폰의 그 OS도 그 맥락을 같이하는거 아닐까요??
윈도우는 애초에 도스기반으로 가고 윈도 95로 이어지면서 안정성과는 거리가 먼 운영체제 아니었나 싶습니다. 과연 64비트를 제대로 지원할수 있느냐도 의심스러워요 -
-
놀이공원 운영자 2009.07.11 03:02 신고 ADDR EDIT/DEL REPLY
Leopard
Basic version $ 129
Premium version $ 129
Business version $ 129
Ultimate version $ 129
잡스형님의 명 키노트가 급 떠오릅니다 ㅋㅋㅋ -
jw 2009.07.31 08:53 ADDR EDIT/DEL REPLY
저도 느끼는 것입니다만 꼭 머리 나쁜애들이 말을 복잡하게 하는 습성이 있더라구요. 냉면집에 비유를 들면 정말 장사 잘되는 집은 메뉴가 "물냉 or 비냉" 딱 2가지인 경우가 많죠. 어서 구글에서도 운영체제도 나오고 OS X도 좀더 많이 퍼지고 선택의 폭이 넓어 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참고로 저도 윈도우 한 10년째 쓰는데 home 하고 professional 그이외 의 버전들의 차이점을 전혀 모르겠습니다.
글
Unibody 알루미늄 바디가 매우 인상적이었다.
그리고 줄어든 발열과 향상된 성능은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환율의 영향으로 높은 가격이 매겨져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 있을 뿐..
그런 알루미늄 맥북에 써드 파티 메모리를 장착할 경우
문제가 생긴다는 보고가 생기고 있다.
현재 알루미늄 맥북에는 삼성에서 만든 DDR3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다.
하지만 애플에서 제공하는 BTO를 통해 업그레이드를 할 경우,
매우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한다.
그래서 보통 써드 파티의 메모리를 구입해서 따로 업그레이드를 많이 한다.
그리고 맥북에서는 그런 업그레이드가 어렵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런데 Apple Support Discussion Forums에서,
알루미늄 맥북에 써드 파티 메모리를 장착하면,
시스템이 불안해진다는 유저들의 원성이 나오고 있다.
사람들은 DDR3 메모리의 새로운 기능이 문제를 일으킨다고 추측하고 있다.
애플에서는 어떻게 지원을 할지 궁금하다.
'Apple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 mp3p 판매 베스트셀러 아이팟이 장악 (8) | 2008.12.16 |
---|---|
아이폰보다 많이 팔린 넷북, 과연 애플에서 출시될 것인가 (4) | 2008.12.11 |
신형 알루미늄 맥북에 써드 파티 메모리 이상증상이 나타난다. (6) | 2008.12.10 |
스마트폰 시장에서 성장은 아이폰뿐 (4) | 2008.12.04 |
애플의 새로운 LED 시네마 디스플레이 사진들 (6) | 2008.11.27 |
아이폰, 미국 최고 휴대폰 되었다. (8) | 2008.11.11 |
설정
트랙백
댓글
-
-
odlinuf 2008.12.10 17:56 신고 ADDR EDIT/DEL REPLY
오늘 인가젯인가 어디서 읽었는데 보통 4G로 업그레이드한 맥북에게서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고 그러더군요. 그래서 써드 파티 메모리 업그레이드시엔 최대 메모리 지원용량이 아닌 그보다 작은 3G로 쓰는 것을 권장한다고. 그런데 삼성 메모리로 업그레이드를 하면 괜찮은 걸까요?
-
우무리 2008.12.11 12:36 ADDR EDIT/DEL REPLY
예전에 미국서 델 쓰다가 메모리 문제 땜에 작업하는데 환장하는 줄 알았는데.. 나중에 리눅스 메모리 체크 프로그램으로 돌려보니.. 메모리 에러..
하여간 메모리 문제는 생기면 처음에 원인도 잘 모르고 젤 골때립니다.. 비싼 돈 주고 샀는데.. 저런 문제 생기면.. 환장하죠..
글
CS3가 발표된지 1년 6개월만의 일이다.
맥유저에게 CS3는 정말 기대되는 제품이었다.
첫 UB로, 인텔맥에서 제대로 돌아가는 첫번째 제품이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이번 CS4는 약간은 실망인듯 하다.
왜냐하면, 64비트는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쨋든..
이번에 나온 CS4는 Cross Upgrade를 지원한다.
즉 윈도용 CS3를 갖고 있는 사람도 원한다면 맥용 CS4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윈도용 CS4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과 동일한 비용이 든다.
단 이경우 윈도용 CS3를 확실히 파기해야 한다고 한다.
맥으로 스위칭할 사람에게는 또다른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다..
'App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4분기 실적 발표 (2) | 2008.10.22 |
---|---|
마이그레이션 및 DVD/CD 공유 업데이트 (10) | 2008.10.17 |
Adobe CS4 Cross Upgrade 지원 (7) | 2008.10.17 |
어제는 미친 가격의 매킨토시, 오늘은 미친 환율.. (14) | 2008.10.16 |
10월 14일에 발표된 맥 노트북 라인. (22) | 2008.10.15 |
차세대 맥북에 없어지는 파이어와이어. (2) | 2008.10.14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그리고 6개월(아니 1년이던가?)간 무료 업그레이드를 제공한다고 했다.
그런데 2월에 Speed Download가 버전 5로 업그레이드 되었고,
맥헤이스트를 통해 스피드다 운로드를 구입한 사람은 무료로 업그레이드 되지 않았다..
당연히 유저들은 항의했다..
그리고 일부 맥 사이트에서는 acHeist / Speed Download 5 saga라는 표현도 사용하였다.
드디어 유저들의 항의가 결실을 맺었다..
15달러의 업그레이드 비용을 받지 않고 무료로 업그레이드해 주기로 하였다.
이곳에 가셔서 맥헤이스트 등록한 정보를 입력하면..
이메일로 새로운 등록번호를 제공한다..
기존에 15달러를 내고 업그레이드 한 유저들은
환불을 요구하거나..
2개의 라이센스를 그대로 갖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버전6로 무료 업글이드도 된다고 한다..
중요한것은..
스피드 다운로드5 라이센스 신청을 3월 27일까지 해야 한다.
맥헤이스트2를 통해 스피드 다운로드를 구매한 사람들은 모두 업그레이드 받으시길..^^
'Apple >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붉은 남작 Red Baron을 맥 스크린 세이버로.. (4) | 2008.03.20 |
---|---|
사파리 3.1 발표.. (2) | 2008.03.19 |
맥헤이스트2 스피드 다운로드5 무료 업그레이드.. (2) | 2008.03.18 |
MacHeist 이곳을 통해 구매해주세요..^^ (2) | 2008.01.14 |
48가지의 추가 iChat/PhotoBooth effects (2) | 2008.01.04 |
flickr 업로더 3.0 (4) | 2008.01.03 |
글
It's time to get a Mac. If you're thinking of upgrading to Vista, you'll probably need a new computer. Why not get a Mac? It's simpler, more secure, and way more fun. And it works with the stuff you already have, like printers and cameras. So before you upgrade anything, you owe it to yourself to check out a Mac.
맥을 구입할 시기이다. 당신이 비스타로의 업그레이드를 고려하고 있다면, 당신은 아마도 새로운 컴퓨터가 필요할 것이다. 맥을 구입하는 것은 어떤가? 간단하고 더욱 보안이 잘되어 있고 훨씬 재미있기도 하다. 당신이 가지고 있는 프린터나 카메라도 잘 동작한다. 무언가를 업그레이드 하기 전에 맥을 고려해보는 것을 잊지 말아라.
-------------------------------------------------------------------
나 역시도 주변에 컴퓨터 구입한다는 사람이 있으면 요즘은 맥을 많이 권한다.
확실히 부트캠프로 인해 윈도가 설치된다는 것은 권유하기 쉽게 만든다.
액티브엑스때문에 순수한 맥을 사용하는것이 국내에서 어렵다는것이 정말 아쉽다..
액티브엑스 문제만 해결되면 맥이 더욱 빠르게 퍼질수 있을텐데..
'App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 a Mac? PC 승.. (0) | 2007.02.05 |
---|---|
802.11n을 지원하는 Airport Extreme의 고화질 사진 감상.. (0) | 2007.02.04 |
Apple의 It's time to get a Mac 캠페인 (2) | 2007.02.04 |
스티브 잡스의 지금까지의 키노트를 한눈에 보자.. (2) | 2007.02.03 |
애플스토어 로마 3월 하순에 오픈합니다.. (0) | 2007.02.02 |
맥 OSX의 시장 점유율 상승중.. (4) | 2007.02.02 |
오 정말 진심으로 부러워집니닷..ㅠㅠ
160gb의 sSD..ㅠㅠ
전 160Gb의 HDD랍니닷~ㅎㅎ
그런데 세컨으로 사용하시면 속도는 일반 HDD속도와 하향평준화 되지 않는지요~
SSD는 부팅과 운영체제, 프로그램등이 모두 들어있습니다.
세컨하드디스크는 음악과 사진정도만 들어있습니다.
160기가의 용량이 여유있게 만드네요..^^
그래서 SSD의 빠른 속도를 마음껏 누릴수 있습니다..
정말 부럽습니다!!! SSD 160기가라니... 전 2년전에 구입한 맥북을 120기가 하드를 500기가로 교체하고 사용하니 한결 낫더군요...
저도 작년에 워런티가 끝나자 마자 120기가 하드디스크를 500기가로 교체했습니다.. 처음엔 정말 좋더군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속도에 대한 욕심이 생기고, 결국 SSD까지 와버렸습니다.. ㅎㅎ 정말 만족스러워요..
아흑, 저도 제 3살짜리 맥북프로에도 너무 해보고 싶습니다.
해보세요. 정말 강추입니다.
아니; SATA 1 이셨나요;
사실 뭐 230 MB/s 을 넘는 읽기 속도는 딱히 체감면에서 확 차이나는건 아니겠지만..
그래도 왠지 SSD가 불쌍하네요..ㅠㅠ
SSD를 위해...SATA 2 지원하는 제 노트북에 넘기심이?ㅋㅋ
그리고 4k block write가 너무 높게 나온거 같네요..저렇게 까지 나오던가;
또 4k blcok read는 너무 낮은거 같고...인텔 벤치라 다른건지;;
SATA1인지 몰랐나.ㅋㅋ 그래도 대만족임..ㅋㅋ
벤치는 맥에서 돌린거라 윈도 기반 벤치랑 좀 다른걸지도..
하나 더...네이버 인텔 SSD 까페에 가시면 여러 기술적인 내용이 많고
TRIM enable 해주는거 좀 설명이 잘되있더라고요.
SSD는 사실상 포맷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TRIM을 전체 쫙 돌려주고 하면 성능에 쬐끔 더 도움이 될 듯 합니다...
뭐...아닐수도ㅎㅎㅎㅎ
글고 TRIM 관련해서는 윈도에 대한 지원만 많고..나머지에 대해서는 별 얘기가 없더군요;
이미 다 살펴보았지..
트림은.. 윈도7에서만 사용되는것 같더라..
근데.. 별로 차이를 모르겠다. 따로 유틸 사용을 한번도 안했는데, 이미 사용한 용량이 원래 용량보다 훨씬 큰데도 불구하고 별로 차이를 못느끼겠네.. ㅎㅎ 성능이 더 나와도 크게 느껴지지 않으면 구지 그럴 필요가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ㅋㅋ 느껴지지 않는 성능 향상을 위해서 몇시간씩 투자하는게 별로 효율적이지 않은듯..^^
비밀댓글입니다
축하드립니다..^^
1. 유니바디가 되기 전의 맥북프로는 HDD를 교환하려면 본체를 분해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좀 긴장됩니다만, 조심하시면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torx6번 드라이버를 준비하시는 것을 잊지 마세요..^^
2. 전 국내에서 판매되는 멀티베이라는 제품을 통해 PATA(제것엔 ODD가 PATA더군요)를 SATA로 바꿔주었습니다. 다만 베이의 프레임 높이에 차이가 있어서 그냥 보드만 빼서 연결시키고 하드디스크를 테잎으로 고정히켰습니다.. ODD의 연결 방식을 확인해 보세요.. 정확히 확인만 되면 다른 회사의 2nd hdd bay를 사용하실 수 있을겁니다.. 그런데, 미국이시면 옵티베이를 구하기 쉬우실텐데요.. 가격이 문제일 뿐이죠..
비밀댓글입니다
정확한 모델 이름을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ifixit.com에 가셔서 확인해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SSD는 후회하지 않으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