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28일 행사를 통해 수많은 사람들이 기다리던 아이폰이 대한민국에 출시되었다.
KT가 아이폰 열풍을 과소평가했는지 예약 구매자들의 불만도 많았지만
아이폰을 사용하게 되면 아이폰에는 다들 만족하는듯 하다.
나 역시 아이폰을 구입해서 개통하고 사용하고 있다.

아이폰의 장점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들이 있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미려하고 편리한 사용자 중심의 UI, 
이동 통신사의 입맛에 맞추지 않고 유저의 요구에 맞춘 기능 등 아이폰의 장점은 참 많다.
이러한 장점들이 모인 아이폰은 디지털 컨버전스의 결정체가 되고있다.

내가 블로그를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때 디지털 컨버전스보다 디버전스로 가는게 아닌가 하는 글을 포스팅한 적이 있다.
그리고 그 생각에 대해선 얼마 전까지 크게 바뀌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 불과 하루 남짓 아이폰을 사용하고 나니 그 생각이 바뀐것 같다.

디버전스의 특징을 가진 준전문가 수준의 기기들이 인기를 끄는 것은 
마땅한 컨버전스 기기가 없기 때문이었다.
기존의 휴대폰이나 스마트폰들은 사용이 힘들었다.
PDA도 마찬가지이다.
디지털 컨버전스의 핵심은 데이터의 유기적 사용이다.
많은 데이터들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편리하고 유기적으로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기기들은 그렇지 못했다.
각각의 기능들은 뛰어났을지 몰라도 데이터들의 유기적인 통합이라는 부분은 매우 취약했다.
예로 사진을 찍어서 웹에 업로드를 하려면 
기기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그다지 쉽지않았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 비용에 대한 부담도 매우 컸다.
결국 컴퓨터가 그 중심에 있을수밖에 없었다.
1990년대 말 스티브 잡스가 애플에 돌아와서 맥을 부흥시키기 위한 전략도 디지털 허브로써의 맥이었다.
이를 위해 iLife가 나왔다.
그리고 맥은 나름 디지털 허브로써의 역할을 잘 감당하고 있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디지털 허브로써의 맥은 태생적인 한계를 갖고 있기도 하였다.
그 한계란 하나의 단계가 더 생긴다는 점이다.
디지털 컨텐츠가 맥에서 생기는것이 아니라,
디지털 컨텐츠는 다른 기기에서 생산되고 맥은 이미 생산된 디지털 컨텐츠를 가공할 뿐이었다.
맥은 생산자가 되지 못했다.
또다른 디지털 컨버전스 기기로 기대되던 스마트폰들은 어떠한가.
디지털 컨버전스를 이야기할때 가장 많이 이야기되던 스마트폰이지만,
예상보다 성장은 매우 늦다.
결국 수년전부터 이야기되던 디지털 컨버전스는 제대로 구현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아이폰을 보면.. 다르다..
손쉽게 사진을 찍어서 공유할수 있고,
동영상을 찍어서 간단히 편집해서 업로드가 가능하다.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거의 모든 곳에서 인터넷에 접속해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이 모든 작업이 물흐르듯이 자연스럽다는 점이다.
무선랜이 주변에 잡히면 자연스럽게 접속해서 무선망을 사용하고,
특별한 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한번만 해두면 맞춰서 설정이 바뀐다.
또한 사진을 업로드 하는것도 한두번의 터치로 가능하고,
제공되는 UI도 언제나 일관성 있게 유지됨으로써 편안함을 느낀다.

이런것은 그만큼 애플이 프로그램들에 대해 통제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과도한 통제로 구설수에 오르기도 하지만,
그렇기에 더 매력적인 컨버전스 기기가 되고 있다.
프로그램들이 모두 통일된 모습을 갖고 있음으로써 프로그램들 사이의 관계가 더욱 유기적이 되었다.
이는 사용자가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부담을 느끼지 않게 한다.

과거의 생각이었던 컨버전스에 회의적인 시각은 이제 바뀌었다..
미래는 분명히 디지털 컨버전스로 나아간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아이폰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