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OSX에 해당되는 글 193건
- 2011.06.08 Post PC를 발판으로 PC 시장까지 노리는 애플 (12)
- 2011.04.19 애플 제품의 메모리 관리에 대해 (22)
- 2010.11.03 맥OSX 점유율을 잡아먹은 아이패드 (9)
- 2010.10.28 맥용 앱스토어 Bodega (14)
- 2010.10.14 10월 20일 맥 이벤트를 여는 애플
- 2010.09.15 맥OSX의 10가지 혁신 (13)
- 2010.06.16 맥OSX 10.6.4 업데이트
- 2010.03.03 애플의 아이폰OS도 공개되어 있다. (21)
- 2009.10.14 Guest 계정 비활성화 방법 (스노우 레퍼드 버그 피하기) (6)
- 2009.09.29 [스노우 레퍼드 팁] 저장/불러오기 창에서 숨겨져 있는 파일 보기 (4)
글
그런데, WWDC에서 발표한 또하나의 주제는 OSX 10.7 Lion이었다.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Lion은 iOS에서 사용한 아이디어를 맥에 적용하였다. 예를 들어보면 스크롤 방향이 예전의 컴퓨터와는 반대로 터치와 같은 방향으로 하도록 되어있고 런치패드나 향상된 멀티터치 제스쳐를 통해 iOS와 비슷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이는 맥 유저들은 iOS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경험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즉 사용자들은 기기가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애플은 PC 시장에서 약자였다. 시장 점유율 10%를 넘어본게 언제인지 까마득하고, 요즘 잘나간다고 하지만 여전히 세계 PC 시장에서 5위안에 들지 못한다. 그런데, 이번 WWDC 발표에 의하면 iOS의 시장 점유율은 무려 44%나 된다. 최고의 점유율이다. 이를 바탕으로 Post PC 시장을 장악하게 된다면 PC가 없는 사람들이 아이패드등 애플의 iOS를 Post PC 플랫폼으로 사용할 것이다. 그런 사람들이 추후 PC를 구입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자신이 사용하던 iOS와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맥을 선택할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이제 애플이 바라는 미래가 보인다. iOS를 기반으로 Post PC 시장을 장악하고 Post PC의 사용자 경험을 토대로 맥 즉 PC 시장의 저변 확대를 노리는것이다. 물론 PC 시장에서 윈도 머신을 완전히 몰아내버릴 정도는 되기 어렵더라도 애플이 꿈꾸던 PC 시장의 20% 점유율 달성이 눈앞에 보이는 듯 하다. 더 나아가 30-4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여 윈도 머신을 제대로 견제할 힘이 생기는것도 가능할것으로 보인다.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티브 잡스의 사망 (5) | 2011.10.06 |
---|---|
iCloud의 핵심, It just works. (0) | 2011.06.17 |
Post PC를 발판으로 PC 시장까지 노리는 애플 (12) | 2011.06.08 |
iCloud로 Post PC를 노리는 애플 (8) | 2011.06.07 |
iOS5는 어떠한 모습으로 우리 앞에 등장할까? (6) | 2011.06.03 |
애플과 삼성의 미출시 제품 요구에 대한 생각 (4) | 2011.05.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애플 제품의 메모리관리의 기본은 OS에게 맡겨두라는 것이다. 애플 제품은 보통 빈 메모리가 있으면 계속 메모리에 프로그램을 올려서 실행하고 빈 메모리가 없으면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것부터 종료시키거나 메모리를 비우는 방식을 사용한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애플의 메모리는 크게 4가지로 분류된다.
1. Free : 이건 비어있는 메모리이다.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바로 로드될 수 있는 영역이다.
2. Active : 이부분은 최근에 읽히거나 사용된적이 있는 메모리이다.
3. Inactive : 이부분은 내용은 들어있지만 최근에 읽히거나 사용된적이 없는 메모리이다.
4. Wired : 이부분은 절대로 내려가지 않는 메모리이다. 주로 OS 등이 들어있다.
처음에 프로그램이 시동되면 Fee 영역에 올라가고 실행된다. 하지만 Free 영역에 빈 공간이 없다면, Inactive 공간에서 오래된 부분을 삭제하고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고, 어차피 실행시키는 중이 아니다.) 그 공간에 올려서 실행시킨다. iOS나 OSX나 동일하다. 둘 모두 커널은 같은 종류를 사용하니 다를 이유가 없다. 즉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서 굳이 히스토리를 불러와서 종료시킬 필요가 없다. 맥에서도 프로그램을 종료시켜도 바로 Free로 내려가지 않고 여전히 메모리에 내용을 저장해두고 Inactive로 놔둔다. 그래야 다음에 같은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시킬때 메모리에 있는 내용은 남겨두고 나머지만 로드하다보니 더 빨리 로드된다.
혹시 메모리가 사용하는 전력을 아끼기 위해서 일일이 종료시킨다면.. 효율도 별로 없는 일에 시간을 투자하는것이라 말하고 싶다. 프로그램 종료시키는 시간동안 화면 켜져있고, 다시 프로그램 실행시킬때 걸리는 시간과 I/O에 사용되는 전력 등을 고려하면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을것이다. (정확히 측정이나 계산해보지는 않았지만..)
즉 애플 제품은 사용자가 굳이 메모리에 대해 열심히 신경 쓸 필요가 없다. 귀찮게 일일이 종료시키지 말고 그냥 편하게 사용하는것이 정신 건강에도 좋고 손가락도 편하고 아이폰도 편하다.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S, 갤럭시S2, 아이폰4 (19) | 2011.05.16 |
---|---|
아이폰의 두번째 시련, 위치정보 저장 (2) | 2011.05.06 |
애플 제품의 메모리 관리에 대해 (22) | 2011.04.19 |
컨텐츠를 생산하는 아이패드 (8) | 2011.04.12 |
12페타의 용량으로 애플은 무엇을 할까.. (0) | 2011.04.08 |
사용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애플 (4) | 2011.04.05 |
설정
트랙백
댓글
-
-
zipi 2011.04.19 15:00 신고 ADDR EDIT/DEL REPLY
음.. 일단 OS가 어느정도 제대로 관리해 줘서 괜찮은데...
전 뭔가 메모리가 부족하면 불안한 느낌(?)이 들어서 매번 꺼줍니다.
물론 수동이 아니라 MultiCleaner이던가.. Activator로 상태바 누르고 있으면 모든 어플 종료 시키게 해서 한번해 종료 시킵니다.
메모리 관리가 잘 되는거 같은데, 항상 여유 공간을 남겨두는 버릇이 생겨서..
터치 1세대 사용하다 보니 습관이 되어 버렸습니다. ㅎㅎ. 적은 메모리 1세대.
메모나 메일 같은겨 켜 있다 보면 다른 어플 구동이 느려지는 느낌이 들더군요.
터치 1세대가 워낙 구형이라 메모리 때문인지 성능때문인지 몰라도 일단 메모리 확볼르 해놔야
마음이 진정이 됩니다. ㅎㅎ -
모모냥이 2011.04.19 15:57 ADDR EDIT/DEL REPLY
그냥 내버려둬도 되는건가요 ?
뭔가 느낌이, 어플을 좀 많이 실행시켜놓고, 게임 하려고 게임어플을 켜고 한참 집중하다보면, 팍 하고 어플이 꺼져버리는 바람에 ... 기록을 날린게 한두번이아니라 ㅠㅠ
혹시나해서 탭소닉 할땐 꼭 필요한거 빼놓곤 다 실행 중지 시켜놓거든요 -
GOODgle 2011.04.19 16:35 ADDR EDIT/DEL REPLY
예외적으로 몇몇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되는 앱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올래네비 같은 것들 ... 그런 것들은 실행 후 꺼두시는 게 좋습니다. 박대리를 잡아먹죠 ^^
-
cookins 2011.04.20 02:19 ADDR EDIT/DEL REPLY
아이폰에선 항상 그런 건 아니지만 다 죽이고 나면 대체로 빨라지기는 하더군요. 특히나 메모리 많이 먹는 것들이 떠 있으면 체감할만큼 됩니다. 백그라운드에서 필요없이 배터리나 밴드위스 소모하는 앱들을 중단시키는 의미도 있구요. 그리고 메모리 점유도 그렇지만 recent app들 떠 있는 것도 불편해서 가끔씩 RemoveBG를 써서 한번에 정리하는 편입니다. 반면 맥에선 메모리 관리같은 건 잊고 살지요. 사실 요샌 램은 남아도는 분위기라 맥이나 윈도나 딱히 관리할 것도 없긴 하지요. 그래도 2기가 맥북에어가 문제나 느려짐없이 잘 도는 걸 보면 기특하긴 합니다. 예전 맥에서 어플 별로 메모리 설정하고 Ram Doubler같은 걸로 짜내서 쓰던 생각하면 세상 참 많이 좋아졌습니다. :)
-
drzekil 2011.04.20 11:43 신고 EDIT/DEL
처음에는 좀 느려질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앱을 로딩할때 메모리가 부족하면 백그라운드 앱을 죽일 시간이 필요하니까요.. 죽일때 그냥 죽이지 않고 필요에 따라 상태를 저장도 해야 하고 그런 시간이 필요하죠.. 또한 iOS에서는 백그라운드에서는 일반적으로 메모리에만 떠있고 특별히 실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배터리나 밴드위스를 소모하지 않죠.. 물론 일부 예외적인 앱들이 있긴 합니다만, 일반적으로 iOS의 앱들은 홈버튼을 누르는 순간 CPU를 점유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짝퉁 멀티태스킹이라는 이야기도 들었죠..
맥에서 메모리가 부족해지면 페이지아웃->스와핑이 일어나게 되고 이게 엄청난 성능 저하를 가져옵니다만.. 프로그램 종료를 잘 시키면 그런 일은 거의 생기지 않습니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많이 떠있다면 스왑으로 인한 성능저하가 매우 큽니다.. 맥북에어의 경우 HDD 대신 SSD가 들어있어서 스왑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상대적으로 좀 적긴 합니다..^^
-
-
이윤석 2011.04.20 03:23 ADDR EDIT/DEL REPLY
애플제품이라면 맥osx도 그런거군요? 저도 뭔가 다중으로 켜놓으면 다른작업할 기운을 빼는거같아서 꼭 사용하지않는것돌은 끝까지 종료시키곤 하는데말이죠//
-
vam 2011.04.20 10:30 ADDR EDIT/DEL REPLY
윈도우 시스템이 만들어 준 불안심리가 아닐까 하네요. ㅎㅎ. 오늘도 좋은 정리글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bum 2011.04.20 11:37 ADDR EDIT/DEL REPLY
알고 있어도 불안 심리 때문에 그렇기도 한 것 같습니다. 저는 왠지 배터리가 빨리 닳는 느낌이 들때가 있는데 이럴때는 모든 suspended app도 종료를 해줍니다.
특히 GPS 사용하는 앱들은 조심을 해야 겠더라구요. GPS, 음악앱. suspend 되어도 이 기능들은 동작을 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위협받더라구요. -
놀이공원 운영자 2011.04.20 22:11 신고 ADDR EDIT/DEL REPLY
윈도우의 메모리 관리도 비스타부터는 자동으로 알아서 다 관리하고 꼬이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그냥 되도록이면 램 많이 꼽아 두고 실사용에서는 그냥 편하게 쓰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윈도우 9x~XP까지에서의 이미지가 상당히 작용을 하는것 같습니다.
어쨌거나 잘 보고 갑니다 :D -
프나 2011.04.21 09:10 ADDR EDIT/DEL REPLY
좋은정보 보고갑니다 ^^ 맥북, 아이폰4, 아이팟을 쓰는데 항상쓰는 어플을 제외하곤 지우는게 습관화 되어있었는데 막상 보니 꼭 그럴 필욘 없는거 같네요.
그런데 저의 경우에 한글2007 맥버전을 사용시에 창을 닫고 앱에 불만 들어와있는데도 리소스를 잡아먹고 시스템속도를 엄청나게 저하시키는걸 봤습니다. 아무래도 이건 앱 자체의 문제겠지만 아이폰4는 몰라도 아직 맥에선 제대로된 호환이 안되는 국산프로그램이 상당히 많은것 같습니다. 그래서 가급적 꺼두는게 좋을거 같구요. 솔직히 아이폰4는 저도 아직 메모리부족! 이메세지를 7개월째 쓰지만 한번도 보질 못했네요 ^^.
물론 앱 8개정도만 항상 실행시켜놓은 습관이 있긴 했는데 동생이 20개씩 실행시켜도 느려짐이 적더라구요. 그이유를 몰랐는데 여기서 보게되었네요 ㅎㅎ
근데 히스토리만 저장된다고 하셨는데 히스토리가 어떠한 형태로 저장되느냐에 따라서 딜레이를 유발할수 있지 않을까요? 램에 히스토리가 저장되어버리면 히스토리가 많은 어플이나 어마어마한 어플의 수 히스토리가 램에 저장되어 버리면 이또한 램을 많이 잡아먹게 될텐데요...
물론 하드에 저장이되는거라면(아이폰에선 ssd겟죠) 문제가 없겠지만요 ^^-
drzekil 2011.04.21 09:57 신고 EDIT/DEL
맥의 경우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고 창만 닫으면 메모리에서 내려가지 않습니다. 결국 메모리가 부족해지면 스왑(메모리의 일부를 디스크에 내려서 메모리를 확보하는 기술)이 일어나고 디스크의 느린 속도때문에 큰 성능 저하를 가져오지요.. 특히 한글2006(맥용은 2006이 최신입니다.)은 ppc용이기때문에 인텔 머신에서 동작하려면 로제타까지 사용해야 하므로 메모리나 시스템 리소스를 더 많이 사용하지요..
히스토리는 메모리에 저장되도 그다지 많은 용량을 차지하지 않을것 같습니다. 히스토리는 단순히 최근에 실행한 앱의 목록입니다. 따라서 앱 하나당 4KB를 차지한다고 해도 100개 해봤자 400KB입니다. 요즘 메모리의 양을 생각하면 정말 작지요.. 오히려 디스크에 저장되면 디스크의 느린 속도때문에 속도저하가 더 클지도 모릅니다..
-
-
Ish 2011.05.01 21:22 ADDR EDIT/DEL REPLY
형 세형이에요~
전에 어디에서 봤는데 재부팅은 어떤가요? 실제로 게임이 엄청 버벅이다가 재부팅 한 번 해주니까 깔끔해졌던 기억이 있거든요. tiny wings였는데... 컴퓨터랑 똑같아서 가끔은 재부팅 해줘야 한다! 는 얘기 듣고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은 굳이 껐다가 켜주고 있거든요. 지킬 형님의 고견을 듣고 싶사옵니다.
글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탭의 한국과 미국 가격차이. (6) | 2010.11.16 |
---|---|
기즈모도의 갤럭시탭 리뷰에 대한 이야기들. (13) | 2010.11.11 |
맥OSX 점유율을 잡아먹은 아이패드 (9) | 2010.11.03 |
맥용 앱스토어 Bodega (14) | 2010.10.28 |
아이폰이 없이 지낸 10일 (14) | 2010.10.27 |
Back to the Mac 이벤트 소감 (16) | 2010.10.22 |
설정
트랙백
댓글
-
지나가는 사람 2010.11.03 23:30 ADDR EDIT/DEL REPLY
맥의 실 구매자들이 줄었다기 보다는 아이패드나 아이폰으로 외부에서 인터넷을 하는 인구가 증가한 탓이 아닐까요?
-
-
종달 2010.11.09 15:08 ADDR EDIT/DEL REPLY
한때 유머로... 애플키노트에서 혼자 에이서노트북 들고있는 사진도 유명했죠...
"여긴어디 나는누구?" 마치 정체성을 잃은 한마리의 병아리를 보는 듯 하달까요? -
ShakeJ 2010.11.16 02:33 신고 ADDR EDIT/DEL REPLY
폐쇄정책으로 유명한 애플을 사람들은 그 폐쇄성으로 인해 끝을 맞을 거라고 하지만,
날이 갈수록 애플은 성장해 가는 듯 하네요. 과연 어떻게 될지 궁금해지네요^^
글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즈모도의 갤럭시탭 리뷰에 대한 이야기들. (13) | 2010.11.11 |
---|---|
맥OSX 점유율을 잡아먹은 아이패드 (9) | 2010.11.03 |
맥용 앱스토어 Bodega (14) | 2010.10.28 |
아이폰이 없이 지낸 10일 (14) | 2010.10.27 |
Back to the Mac 이벤트 소감 (16) | 2010.10.22 |
아이폰4 개통에 대해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KT (7) | 2010.10.21 |
설정
트랙백
댓글
-
코리안블로거 2010.10.28 15:38 신고 ADDR EDIT/DEL REPLY
이런곳이 하나쯤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정말 있었군요.
얼마전 아이맥을 구입한 후 줄곳 찾아다닌 딱 그런곳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Vamstudio 2010.10.29 14:02 ADDR EDIT/DEL REPLY
맥용 앱스토어가 나오면 우리나라 소프트웨어계에도 많은 긍정적 변화가 있을거 같네요.
아이폰 앱스토어를 통해 싸면서도 다양하고 고퀄리티의 어플들을 소비자가 바람직하게 소비할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듯이.
불법복제의 천국인 우리나라에서도 맥 앱스토어의 영향을 받아서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쉽고 저렴하게
바로 구입할 수 있는 시스템이 생긴다면
지금보다도 더 많은 바람직한 소비가 생겨나지 않을까 싶네요.
누구의 말처럼. 불법복제를 막을 보안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보다
좀더 많은 사람들이 쉽고 싸게 프로그램을 구입할수 있는 풍토를 만드는게
불법복제를 막을수 있는 더 좋은 방법이라는 말이 생각이 나네요. -
ShakeJ 2010.11.02 15:14 신고 ADDR EDIT/DEL REPLY
오랫만에 뵙네요^^ 혹시 맥북에 포함되어있는 건진 모르겠는데, 3D 데스크톱
그건 맥북 기본 OS로 포함되어있는건가요?? 동영상은
제꺼에올려놓긴했는데..
윈도우7에 비해서 멀티터치가 훨씬 잘되어있는 듯하네요..맥북 디자인도 엄청나던데.. -
장영길 2010.11.03 00:22 신고 ADDR EDIT/DEL REPLY
와.. 이런게 있었네요.
정말 멋지네요.
설치하니 제 맥에 업뎃 가능한 앱이 2개 있다고 알려주고 Get하니 다운로드까지 실행.
인스톨로 최신버젼으로 갱신까지 했습니다.
아이폰처럼 맥도 이런게 가능해지니..생각만해도 즐겁네요. -
종달 2010.11.09 15:11 ADDR EDIT/DEL REPLY
다만 크랙에 대한 대비는 잘했나 모르겠습니다...
OS락이 걸린 앱스토어도 크랙이 넘치는데, 하물며 일반 PC시장에선 어찌될지... -
ShakeJ 2010.11.17 18:41 신고 ADDR EDIT/DEL REPLY
윈도우 마켓플레이스도 제대로 잘 정비되고 잘 정리되서 한국에도 어서 빨리
그모습을 보였으면 합니다 ㅜㅜ
글
'Apple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4분기 실적 발표 (4) | 2010.10.19 |
---|---|
맥 북미시장 점유율 10% 돌파 (2) | 2010.10.18 |
10월 20일 맥 이벤트를 여는 애플 (0) | 2010.10.14 |
애플스토어 HTML5를 이용한 맥 비교 사이트 오픈 (2) | 2010.08.23 |
애플 3분기 실적 발표 (2) | 2010.07.21 |
iTunes 9.2 업데이트 (0) | 2010.06.1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관계 (7) | 2010.09.28 |
---|---|
아이폰, 원버튼의 편리함 (70) | 2010.09.17 |
맥OSX의 10가지 혁신 (13) | 2010.09.15 |
애플 이벤트 예상 얼마나 맞췄을까. (2) | 2010.09.09 |
애플 9월 1일 이벤트에 대한 생각 (9) | 2010.09.03 |
9월 1일 애플 이벤트 빠른 정리 (4) | 2010.09.02 |
설정
트랙백
댓글
-
ㅇ.ㅇ 2010.09.15 13:56 ADDR EDIT/DEL REPLY
다른 OS에서 15년 이전부터 해온걸 처음 봤다고 혁신이라니. 참 이래서 플빵들은 아메바라는 소릴 듣는거슈.
-
흠.. 2010.09.15 17:22 EDIT/DEL
다른 OS에서 15년 이전부터 해온거라는 것을 증명하고 나서 이런 댓글을 다는게 순리일듯.. 이러니 OS라곤 윈도그나 만져본 양민들이 아메바라는 소릴 듣는거요..
-
-
dfnks 2010.09.15 17:25 ADDR EDIT/DEL REPLY
봉주르는 외국에도 그렇게까지 환영받지는 못합니다만....
구글 검색만 해봐도 윈도우 유저들의 이거 어떻게 지워야 하냐는 질문들로 넘쳐나는데요? 정확하게 말하자면 해외 맥유저들은 환영할지도 모른다, 정도겠죠. 윈도유저중에 저거 환영하는 사람 솔직히 본적없음... -
선환 2010.09.16 03:03 ADDR EDIT/DEL REPLY
봉주르 괜찮은데..
프린터도 한방에 찾아주고..
윈도우나 리눅스에서 프린터 찾을때마다 아이피 넣는것 생각하면 아찔..
맥에서 프린터 아이피 찾느라 고생한적이 없네요.. HP 프린터들에 봉주르 기본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나오는 airplay 도 봉주르 기반입니다..
앞으로 많이 쓰일 기술같네요.. -
PakGym 2010.09.16 10:54 ADDR EDIT/DEL REPLY
윈도우 유저들이 봉주르를 잘 모르고 지울려고 하겠죠. 저도 맥과 윈도우를 동시에 쓰지만 처음에 봉주르를 몰라서 윈도우에서 지운적이 있습니다. 아이튠즈와의 관계를 전혀 모르고 한 행동이었습니다. 맥에서는 봉주르가 무엇인지도 알 필요도 없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그리고 윈도우 유저들이 구글링으로 봉주르를 삭제하는 방법을 질문을 한다는 것이 이해가 안됩니다. 그분들이 윈도우 유저 맞습니까? 다른 프로그램들은 어떻게 삭제하나요?
-
거야 2010.09.16 22:27 EDIT/DEL
어도비나 기타 다른 프로그램들에 딸려서 깔리는 경우 단독으로 삭제하는게 안나오거든요. 뭐 설치되는 경로가 다양하니 프로그램 추가 제거에 뜨는 경우도 있지만 안뜨는 쪽도 많음. 그때는 어떻게 지워야 할지 막막하죠.
-
-
rince 2010.09.20 15:39 신고 ADDR EDIT/DEL REPLY
맥초보다보니 아직 사용해보지 못한 기능들도 많이 있네요.
하나하나 감탄해가며 사용 할 날이 오겠지요 ^^;
자신이 사용하던 iOS와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맥을 선택할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라는 부분은 좀더 생각해봐야한다고 봅니다. 아이폰이 막강한 이유중 하나는 어플리케이션과 게임분야인데 아직 OSX 가 윈도우즈에 비해 약한 부분이죠. 이 부분이 해결되지 않는한.. OSX 가 30~40% 까지는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어느정도 공감합니다.
그런데 맥용 어플리케이션과 게임도 꽤 많이 좋아졌습니다. 오히려 맥만의 특색있는 어플리케이션도 많지요.. 게임은 스팀덕에 정말 많이 좋아진듯 합니다..
물론 일반인들은 iOS와 비슷한 맥을 선택하겠지만 그래봤자 기업에서는 대부분 PC를 쓸수밖에 없어서 30%는 불가능할것 같습니다. microsoft office라는 벽을 넘을수가 없을것 같아요.
영문에서 맥용 오피스는 꽤 좋은 호환성을 보입니다. 한글에서 문제지요.. ㅡㅡ; 영문권을 비롯한 라틴문자를 사용하는 데에서는 오피스가 더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것 같습니다.
또한 오피스의 문서 포맷이 공개되고 표준이 되면서 문서 호환성 문제도 점점 개선되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iOS덕에 맥의 위상이 많이 올라간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국내에서도 그렇고요.
MS OFFICE야 최신 버전이 OSX용으로도 나왔고....
애플리케이션이 윈도우용이 풍부하다는 말에는 동의하기 힘든 것이..
윈도우 사용자들이 쓰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기업용으로 사용되는 하이엔드 애플리케이션을 불법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물론 성능은 좋지요. 많은 인력과 노력이 투입되었기 때문에. 그걸 무료로 쓰고 있으니 좋지 않을리가 있나요. 그래도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맥에도 존재하고, 개인 사용자용 유료 프로그램 시장은 오히려 더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게임에 있어서는.. 현재 윈도우보다는 콘솔 시장이 강세입니다.
다른 이유보다도 개발에 많은 자본과 인력이 투입되는 게임은 심지어 돈이 되는 기업 고객조차 없기 때문에
불법 복제에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POST-PC가 고사양화, 대중화 될수록 많은 애플리케이션 개발 인력은 급속도로 유료 시장이 제대로 자리를 잡은
POST-PC쪽으로 기울어질 것입니다.
클라우드를 정리한 애플의 다음 행보는 PC시장의 재정복보다도..
가정용 미디어 허브를 완성하는 애플 TV를 손보는 것이 아닐까...생각이 됩니다.
지금도 기술적 한계보다는 협상쪽에서 난항을 보이는 것이니.. 문제는 스티브잡스의 건강이 아닐까요.
HULU 등이 성공적 서비스를 하는 것 보면 협상이 이제는 어렵지 않을 듯 한데 말이지요.
댓글 감사드려요..
MS Office의 경우 계속해서 OSX용으로 제품을 출시해왔지요.. 다만 언제나 한글의 지원이 별로였다는 문제가 있을 뿐..ㅡㅡ
애플이 PC 시장의 재정복을 위해서 무언가 가시적인 행동을 보이지는 않을겁니다..
다만 이런 일련의 바람이 PC 시장을 염두에 두고 가는듯 합니다.
실제적으로는 애플TV를 손본다던가 하는 일이 되더라도 iOS의 성공을 통해 PC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최대화 하려는 의도가 있는것 같아요..
스티브의 건강은.. 정말 애플 팬들에게는 큰 걱정거리인듯 합니다..
아이 시리즈로 인해
맥의 인지도가 높아졌고 맥의 판매가 늘어난 건 사실이지만
그 판매량에는 상당수의 허수가 있습니다.
맥에서 윈도를 돌리는 사용자들이죠...의외로 많습니다.
혹자는 패러럴을 애플의 트로이 목마라 합디다만
이들을 진정한 맥유저로 잡아두려면 많이 노력해야 할 겁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렇죠.. 외국에서는 OSX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훨씬 많은것 같습니다.. 제가 본 외국인들은 다들 OSX를 사용하시더라구요..
앞으로 시장의 변화가 어떻게 될 지 기대가 큽니다. 잘 읽었습니다.
잘 읽여주셔서 감사합니다..
게임이 많이 좋아지긴 했지만...
요 몇년새 Direct X의 영향력이 막대해지면서 점점 OGL 게임 비중이 줄고있는게 안타까운 현실이죠.
앞으로 Mac Game시장의 확대는 점점 더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
물론, Blizzard가 훌륭하게 맥 타이틀 유지를 해주곤 있지만.. 이외의 대형 게임 개발사들은
DX 타이틀에만 열중하고 있지요.
그런데 스팀등을 통해서 대작 게임들은 맥용으로도 꽤 나오는것 같습니다. 작년 최고의 작품이었던 문명5도 맥용으로 나왔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