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간으로 3월 8일 새벽3시에 애플은 이벤트를 열어서 새로운 아이패드를 발표했다.


사람들의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전면에 내세우고, 카메라 업데이트, LTE 지원 등을 내세웠다. 가격역시 기존의 가격에서 변하지 않았다. 그 외에도 쿼드코어GPU를 탑재한 새로운 A5X 칩이 탑재되었다.

기존의 iPad2와의 비교를 engaget에서 정리하였다.


애플에서 언급하지 않은 중요한 사항이 바로 두께와 무게이다. 두께와 무게가 iPad2와 비교해서 조금 늘었다. 늘어난 두께와 무게는 배터리에 사용된듯이 보인다. 배터리 용량이 1.7배정도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사용 시간은 동일하다.

레티나 디스플레이 하나만으로도 매력이 있어보이는데 카메라와 쿼드코어GPU는 더욱 돋보이게 만들기에 충분하다.

다만 두께와 무게는 정말 아쉬운 부분이다. LTE와 A5X칩,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생각보다 많은 전력을 먹는듯 하다. 때문에 10시간의 사용시간은 그대로이니 말이다. 크기와 무게에서 왠지 스티브잡스의 빈자리가 느껴진다고나 할까.. 

또하나의 중요한 발표는 iLife의 업데이트 및 iOS용 iPhoto이다.


iLIfe 특히 GarageBand의 협연 모드는 아이패드를 명실공히 악기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하였다. 단순한 협연이 아니라 녹음이 되어 다시 플레이할수 있는 부분은 정말 매력적으로 보인다.


또한 iOS용 iPhoto는 사진을 손쉽게 편집할 수 있게 도와주고 아름다운 인터페이스까지 매력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쁘기만 하고 실사용이 편리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듯 하다. 어쨋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느낌이 든다. 이로써 iLife의 핵심 앱 3개가 모두 iOS용으로 출시되었다. 애플은 계속해서 iPad를 컨텐츠 소비기기에서 컨텐츠 생산 기기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시도를 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터치 인터페이스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애플답게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
 
iPad로 pdf 문서를 자주 보는 나에게 레티나 디스플레이는 가뭄의 단비와 같은 느낌이다. 그런데, 과연 국내 출시가 된다고 바로 구입하게 될지는 조금 생각해 봐야 할것 같다. iPad2도 해상도를 제외하고는 크게 부족한 점이 보이지 않으니 말이다. 그래서 iPad2 유저들이 기기 변경을 할만한 매력이 부족해 보이는것 같다. 물론 iPad1 사용자들은 부족한 메모리 등의 문제로 많이 갈아탈것 같지만.. 그래도 애플의 매력으로 인해 불티나게 팔려나갈것은 확실해 보인다. 안드로이드 기반 패드는 아직 갈길이 멀고 결국 적당한 대항마가 아직 보이지 않는것 같다.

스티브 잡스가 우리 곁을 떠난지 벌써 반년이다. 일단 애플은 첫걸음을 잘 떼고 있는듯이 보인다. 스티브잡스 말년의 키노트처럼 팀쿡은 오프닝과 마무리만 하고 담당자들이 자세한 내용을 발표하는 모습도 스티브잡스의 준비였던것 같다.

'Apple > drzekil의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 없는 아이폰6 리뷰  (2) 2014.11.14
아이폰6!!!!  (0) 2014.10.30
스티브 잡스의 사망  (5) 2011.10.06
iCloud의 핵심, It just works.  (0) 2011.06.17
Post PC를 발판으로 PC 시장까지 노리는 애플  (12) 2011.06.08
원문링크: Picasa vs. iPhoto

vs.

난 맥을 쓰면 사진 작업쯤이야 별 것 아닐거라 생각했고, 정말 눈꼽만큼도 고민하지 않았다.
애플도 iLife에 무지하게 신경써서 그런지 사진이나 동영상 다루는건 정말 괜찮은 편이다.
하지만 현실은 결코 녹녹치 않다는거.

사진 전문가는 아니지만 난 사진을 많이 찍는 편이고, 특히 여행다닐 때 엄청 찍는다.
카메라는 프로슈머용 - Canon 30D - 이고 최신 렌즈도 몇 개 가지고 있다. 그동안 찍은 사진이 한 1만 9천장 정도 되는데 지금까지는 구글에서 만든 Picasa로 관리해왔다.
(역자주: 직업 빼고 저랑 비슷한 점이 많군요)

Picasa는 정말 유용하다. 엄청난 사진 속을 돌아다녀야 한다는 내 요구사항에 정확히 일치한다. 마치 디스크에 저장한 파일들처럼 내 사진 폴더를 관리해주고 사진도 후다닥 찾을 수 있도록 정리해주며 간단한 편집 정도야 뚝딱 해치운다. 이런 프로그램에서 편집은 적목현상이나 밝기 조절 정도만 하고, 가끔 수직 수평을 맞추는 정도이다. 그 이상이 필요하다면 그건 포샵 써야지.
(역자주: 글 쓴 사람은 상당한 수준의 포토샵 유저입니다)

iPhoto로 사진 옮기기.
난 iPhoto로 사진만 옮기면 그걸로 다 되는 줄 알았다.
그래서 45GB나 되는 사진을 전부 맥북에다 카피한 다음, 다시 iPhoto로 불러들였다. 양이 양인 만큼 시간도 좀 걸렸다.
(역자주: ...45GB...)

그랬더니 45GB가 아니라 90GB를 잡아먹는게 아닌가!!! 알고보니 iPhoto는 불러들인 사진을 전부 하나의 라이브러리 파일로 만드는 것이다.
일단 불러들이고 나면 원본은 지워도 되지만, 그럼 내 사진은 전부 그 라이브러리 속에만 존재하는 것 아닌가.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Picasa처럼 관리하는 방법도 있단다. 사진 원본은 놔두고 iPhoto에서는 보기만 하는 것이다. 나중에 시간 나면 이 방법으로 바꿔봐야겠다.

한가지 배운 점: Picasa는 원본 사진을 있던 폴더에 그대로 놔두고, 사진 수정하면 그것도 같은 폴더에 넣어둔다. iPhoto에서는 원본을 다 가져온다.

iPhoto에서 사진 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Event와 Photo. 근데 사진을 각각 폴더에 넣어서 관리하는 나에게 있어선 그다지 차이가 없는 것 같다. 두 방법 모두 사진을 구분할 때 사진이 들어있는 폴더 구조를 그대로 따다가 사용한다. 난 사진 폴더 안에 세부 제목별로 다시 폴더를 만들어 관리하니까 결국 그게 그거다. 내가 어떻게 손 쓸 수 있다기 보다는 그냥 Picasa에서 iPhoto로 넘어오면서 느끼게 되는 차이라고나 할까.

그냥 사진 찍은 날짜별로 구분해주면 좋겠다. 파일에 있는 날짜가 아니라 메타정보에 들어있는 날짜로 말이다. 그럼 사진 찾는것도 훨씬 쉽지 않을까.

Picasa에서 아쉬운 점.
딱 하나 있다. iPhoto 쓸 때 preview에서도 줌 인이 되는게 부럽다. Picasa에서는 프리뷰 상태에서 더블클릭하면 화면 채우기만 되고, 그 이상은 edit 모드로 들어가야 한다. 오른쪽 아래에 줌 조절판도 있긴 하지만 그나마 프리뷰에서는 보이지도 않는다.

iPhoto 좋은 점.
슬라이드쇼가 예술이다. "Ken Burns" 효과(역자주: 사진 확대+이동 효과)도 들어있고 매우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iTunes나 Gagage Band에 들어있는 음악도 넣을 수 있어 슬라이드쇼를 정말 보기좋게 꾸밀 수 있다.

그리고 사진 정보를 한꺼번에 편집할 수 있다! 이거 정말 멋진게, 와이프 카메라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한참이 지나면 날짜가 전부 2000년 1월 1일로 리셋되어 버리니, 그럼 사진이 전부 옛날에 찍힌 게 되어버리잖은가.

아직 써보진 않았지만 iPhoto의 사진책 기능도 상당히 괜찮다. dotPhoto.com이나 Shutterfly같은 온라인 사진 사이트에서도 책만들기를 지원하지만 iPhoto에서 만드는 방법은 정말 멋지다.

이제 iPhoto로 고생할 건 다 해본 것 같으니, 내 사랑스런 Picasa를 슬슬 버릴 때가 된 모양이다.
(역자주: 좀 잔인하게 옮겨봤습니다. 원문은 이렇죠 - it's actually going to be able to replace my beloved Picasa.)

-------------------------------------------------------------------------------------

전 피카사보다 아이포토가 더 좋았던것 같습니다..
아이포토를 피카사보다 먼저 사용해봐서 그런가요..^^
먼저 사용하는것이 익숙해져서 그런지 더 좋다고 많이들 느끼는것 같습니다..
특히 아이포토의 슬라이드쇼는 정말 간단하고도 멋지게 할 수 있지요..^^

특히 사진을 폴더별로 관리하는것보다 그냥 쉽게 아이포토 자체적으로 사용하는게 더 편한것 같습니다..
전혀 신경쓰지 않아도 되니까요..^^
그에 비해 David는 자신이 관리하는것이 더 좋다고 생각하는듯 하네요..^^
사람마다 취향차이가 있는것 같습니다..

하드코어 PC 광의 맥 사용기는 애플포럼의 해든나라님께서 번역해주신것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맥 OSX 10.4.11 공개.. Apple 2007. 11. 15. 10:58
사용자 삽입 이미지
OSX 10.5 레퍼드가 출시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이미 많은 유저들이 레퍼드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OSX 10.4 타이거를 사용하는 유저들도 많이 있다.
타이거 유저들을 위한 10.4.11 패치가 공개되었다..

바뀐 부분은 애플 홈페이지에 가면 볼 수 있다.

주목할 사항은 사파리3이 베타딱지를 떼고 추가되었고,
아이폰에 대한 지원사항이 좀 늘었다.
또한 MS의 프리젠터8000 마우스 지원이 추가되었다.

그 외에도 iPhoto 7.1.1과 Final Cut Studio 2 도 업데이트 되었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8월 7일..
애플은 이벤트를 열었고 뉴아이맥, iLife08, iWork08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그중에 닷맥 웹갤러리 이야기가 발표되었다.
iPhoto에서 간단히 관리가 가능한 닷맥 웹갤러리는 분명히 매우 매력적으로 보였다.
그로 인해 닷맥을 구입해볼까 심각하게 고민하게 만들었으니..^^

하지만 한국에서 12만원/년(편법을 사용하면 좀 싸게 구입이 가능하기는 하다)에 판매되고 있는 닷맥이 과연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었다.
아직 한글 지원도 부족하고, 맥이 1대뿐이라 iSync는 사용할 일이 없을것 같고..
속도도 좀 괜찮아졌다지만 여전히 느리다고 하고..
아직 구입이 꺼려지는것은 사실이다..

그러던중 문득 머리를 스치는 서비스가 있었으니.. 구글의 피카사이다..
피카사는 다들 아시다시피 구글에서 지원하는 사진 관련 서비스이다..
윈도에서는 피카사 프로그램을 통해 사진 관리가 가능하고,
웹으로 앨범도 제공한다..
게다가 1기가의 용량이 무료로 제공된다..
그래서 한번 알아보았다..
맥에서는 어떨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시나..
iPhoto Plugin을 지원해서 iPhoto에서 간단하게 웹앨범에 업로드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었다..
적절하게 사진 사이즈도 자동으로 줄여주고..
꽤 좋았다..
맥으로 다운로드 페이지에 들어가면 맥용 iPhoto Plugin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고..
간단하게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후 웹앨범으로 업로드하려면 파일->보내기 메뉴를 통해 가능하다..
계정을 입력하고(저장해놓으면 한번만 입력하면 된다) 웹앨범 카테고리를 지정하고 간단히 업로드가 가능하다.
좋은 해상도로 업로드했음에도 불구하고 52장의 사진에 31메가의 용량을 사용했다.
대충 계산해보아도 1기가라면 1500여장 이상 사진을 업로드 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또한 간단히 웹상에서 슬라이드쇼로 보여줄수도 있으니 더할나위 없이 좋다.
다만 아쉬운점은 아직 iPhoth08은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는 곧 해결될거라 생각한다..

부모님께 우리가 찍은 사진을 쉽게 보여줄수 있는 좋은 방법을 찾았으니
당분간 닷맥 웹갤러리의 유혹에서 벗어날 수 있을듯 하다..